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보요박[ 1 페이지 / ]

베게 박은. 촘촘하게 박은.

보운[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32 페이지 / 전적]

「步韻」-他人의 韻을 써서 詩를 짓는 것을 이름. 그 韻에 依하여 和作하기 때문에 步韻이라 稱함.

보원침닉(普願沈溺) 제중생(諸衆生)[권왕가 62 페이지 / 전적]

흔히 술이나 계집, 또는 노름 등에 빠지기를 원했던 여러 중생들.

보월사친(步月思親)[해주졍씨목친가(주졍씨목친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달빛을 보고 걸어도 부모님을 생각함.

보육[팔역가(八域歌) 50 페이지 / 전적]

신라시절 성골 장군의 아들 강충과 그의 아들 보육

보인(保人)[백세보중(百世葆重 一)1 24 페이지 / 전적]

군역의 의무를 직접 복무하는 호수(戶首)의 경제적 보조를 위해 정군(正軍)에 배정되어 베나 무명을 납부하던 자. 조선초기에는 봉족(奉足)이라 하였다.

보인(補仁)하면 덕일진(德日進)이라[승차선비가(乘車船飛歌) 6 페이지 / 전적]

인(仁)을 도우면 덕(德)이 날로 나아간다.

보인(補仁)하면 덕일진(德日進)이라[교우가(交友歌) 2 페이지 / 전적]

인(仁)을 도우면 덕(德)이 날로 나아간다.

보인(輔仁)[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26 페이지 / 전적]

벗끼리 서로 격려하며 인덕(仁德)을 닦는 일.

보인(輔仁)[삼강오륜가 서 12 페이지 / 전적]

벗끼리 서로 격려하고 인덕(仁德)을 닦는 일.

보인(輔仁)[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17 페이지 / 전적]

「輔仁」- 論語 顔淵篇에『君子以文會友 以友輔仁』이라 하였는데 註에「善을 取하여 仁으로 도우면 德이 날로 나아간다」라하였음.

보인(輔仁)[ 1 페이지 / ]

벗끼리 서로 격려하며 인덕(仁德)을 닦는 일.

보인(輔仁)[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93 페이지 / 전적]

벗끼리 서로 격려하며 인덕(仁德)을 닦는 일.

보장(報狀)[회심곡 14 페이지 / 두루마리]

어떤 사실을 상관에게 보고하는 글.

보장(報狀)[심심가(尋心歌) 57 페이지 / 전적]

어떤 사실을 상관에게 공식적으로 보고하던 일. 또는 그런 문서.

보장(報狀)[심심가(尋心歌) 57 페이지 / 전적]

어떤 사실을 상관에게 공식적으로 보고하던 일. 또는 그런 문서.

보장왕(寶藏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24 페이지 / 전적]

고구려의 제28대 마지막 왕(?~682). 이름은 장(藏) 또는 보장(寶藏). 연개소문에 의하여 왕위에 올랐으며, 재위 27년(668) 나당(羅唐) 연합군의 침공으로 고구려는 망하고 왕은 중국 당나라로 압송되었다.

보재(寳財)[지효가(知孝歌) 7 페이지 / 전적]

보물과 보배로운 물건.

보조(普照)[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69 페이지 / 전적]

고려 신종 때의 중(1158~1210)으로 속성은 정(鄭), 이름은 지눌(知訥), 호는 목우자(牧牛子), 시호는 불일보조(佛日普照)이다. 선·교 양종(兩宗)의 합일을 주장하여, 그 전의 구산선문을 조계종으로 통합하였다. 저서에

보존(保存)[자탄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잘 보호하고 간수하여 남김.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