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복희씨(伏羲氏)[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0 페이지 / 전적]

중국 고대의 전설상의 제왕. 삼황오제(三皇五帝)의 수위(首位)를 차지하며, 용마하도에 의거해 팔괘(八卦)를 처음으로 만들었음.

복희씨(伏羲氏)[답가사라(답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이며 삼황오제의 우두머리이다. 팔괘(八卦)를 처음으로 만들고 그물을 고안하여 고기잡이를 가르쳤다고 한다.

복희씨(伏羲氏)[조심가라 7 페이지 / 전적]

중국 고대 삼황오제(三皇五帝)의 하나. 팔괘(八卦)를 그리고 서계(書契)를 만들었으며, 그물을 발명하여 어업·수렵·목축을 가르쳤다고 함.

복희씨(伏羲氏)[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2 페이지 / 전적]

중국 고대의 전설상의 제왕. 삼황오제(三皇五帝)의 수위(首位)를 차지하며, 팔괘(八卦)를 처음으로 만들었고, 그물을 발명하여 고기잡이의 방법을 가르쳤다 함.

복희씨(伏羲氏)[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0 페이지 / 전적]

중국 고대의 전설상의 제왕. 삼황오제(三皇五帝)의 수위(首位)를 차지하며, 용마하도에 의거해 팔괘(八卦)를 처음으로 만들었음.

복희씨(伏羲氏)[답가사라(답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이며 삼황오제의 우두머리이다. 팔괘(八卦)를 처음으로 만들고 그물을 고안하여 고기잡이를 가르쳤다고 한다.

복희씨(伏羲氏)[조심가라 7 페이지 / 전적]

중국 고대 삼황오제(三皇五帝)의 하나. 팔괘(八卦)를 그리고 서계(書契)를 만들었으며, 그물을 발명하여 어업·수렵·목축을 가르쳤다고 함.

복희씨(伏羲氏)[구궁환정구구가(九宮還定九九歌) 3 페이지 / 전적]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인 삼황오제의 우두머리이며, 팔괘를 처음으로 만들고 그물을 발명하여 고기잡이의 방법을 가르쳤다고 한다.

복희씨(伏羲氏) 풍가(風哥)임금[역대가라(역가라) 3 페이지 / 전적]

삼황(三皇)의 한 임금. 8괘를 만들었다고 전하며, 농사와 고기잡는 법을 가르쳤다고 전함. 풍가는 복희씨의 성(姓)이 풍(風)가였기 때문에 나온 말이다.

복희씨(伏羲氏/伏犧氏)[거창가라 7 페이지 / 전적]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삼황오제의 우두머리이며, 팔괘를 처음으로 만들고 그물을 발명하여 고기잡이의 방법을 가르쳤다고 함.

복희씨(伏羲氏/伏犧氏)[아림가(娥林歌) 7 페이지 / 전적]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 삼황오제의 우두머리이며, 팔괘를 처음으로 만들고 그물을 발명하여 고기잡이의 방법을 가르쳤다고 함.

본고방령(本固邦寧)[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68 페이지 / 전적]

근본이 튼튼해야 나라가 평안함.

본고방영(本固邦寧)[근농가(勤農歌) 6 페이지 / 전적]

근본이 튼튼해야 나라가 평안함.

본고방영(本固邦寧)[경세가(警世歌) 2 페이지 / 전적]

근본이 튼튼해야 나라가 평안함.

본공(本空)[교몽가 4 페이지 / 전적]

근본이 비어 있음.

본관(本官)[북쳔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고을의 원(員)을 이르던 말. 또는 감사(監司)나 병사(兵使)가 있는 곳의 목사(牧使), 판관(判官), 부윤(府尹)을 이르는 말.

본관(本官)[군산월애원가(군월원가) 3 페이지 / 전적]

고을의 수령을 이르던 말.

본관(本官)[북쳔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고을의 수령을 이르는 말로 당시의 안변부사는 임백수(任百秀)였다.

본관폐[팔도가 8 페이지 / 전적]

본관에서 폐를 끼침.

본관폐[팔도가 8 페이지 / 전적]

본관에서 폐를 끼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