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봉구황(鳳求凰)[츄풍간별곡 차(츄풍간별곡 ) 14 페이지 / 전적]

봉구황곡(鳳求凰曲). 중국의 사마상여(司馬相如)가 부인인 탁문군(卓文君)을 유혹할 때 연주한 거문고 곡명.

봉구황(鳳求凰)[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9 페이지 / 두루마리]

한나라 문인 사마상여(司馬相如)와 탁문군(卓文君)의 아름다운 사랑이야기를 읊은 노래.

봉구황(鳳求凰)[차운 15 페이지 / 전적]

봉구황곡(鳳求凰曲). 중국 한나라 때에 사마상여(司馬相如)가 탁문군(卓文君)을 유혹하기 위하여 연주했던 거문고 곡조. 탁문군(卓文君)은 그 소리에 반하여 밤에 몰래 집을 도망쳐 나와 사마상여(司馬相如)의 아내가 되었고, 그 이후로 「봉구황곡(鳳求凰曲)」은 남자나 여자가 서로 짝을 구하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음.

봉구황(鳳求凰)[상사가라 9 페이지 / 전적]

봉구황곡(鳳求凰曲). 중국 한나라 때에 사마상여(司馬相如)가 탁문군(卓文君)을 유혹하기 위하여 연주했던 거문고 곡조. 탁문군(卓文君)은 그 소리에 반하여 밤에 몰래 집을 도망쳐 나와 사마상여(司馬相如)의 아내가 되었고, 그 이후로 「봉구황곡(鳳求凰曲)」은 남자나 여자가 서로 짝을 구하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음.

봉구황곡(鳳求凰曲)[감별곡 5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전한(前漢)의 문인 사마상여(司馬相如)가 탁문군(卓文君)을 유혹하기 위해서 지은 곡조 이름.

봉군자(奉君子)[추월감 7 페이지 / 두루마리]

군자를 받들어 모심.

봉군자(奉君子)[조선충효가 12 페이지 / 두루마리]

여기서 '군자'는 남편을 뜻하며, 남편을 받들어 모심.

봉궐(鳳闕)[고봉선생문집 권이(高峰先生文集 券二) 7 페이지 / 전적]

원래 한대(漢代)의 궁궐 이름이었는데, 후대에서는 모든 궁궐의 대명사로 쓰였다

봉급제(俸給制)[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49 페이지 / 전적]

봉급제도.

봉기(蜂起)[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3 페이지 / 전적]

벌 떼처럼 떼 지어 세차게 일어남.

봉꽃[권왕가 60 페이지 / 전적]

‘봄꽃’의 오기인 듯함.

봉놋방[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48 페이지 / 전적]

주막에서 여러 나그네가 한데 모여 자는 큰 방.

봉당(封堂)[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31 페이지 / 전적]

안방과 건넌방 사이의 마루를 놓을 자리를 흙바닥 그대로 둔 곳.

봉당(封堂)[츄억감 6 페이지 / 두루마리]

안방과 건넌방 사이의 마루를 놓을 자리에 마루를 안 놓고 흙바닥 그대로 둔 곳.

봉당(封堂)[추월감 4 페이지 / 두루마리]

안방과 건넌방 사이의 마루를 놓을 자리에 마루를 놓지 아니하고 흙바닥 그대로 둔 곳.

봉당(封堂)[기원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안방과 건넌방 사이의 마루를 놓을 자리에 마루를 놓지 아니하고 흙바닥 그대로 둔 곳.

봉대(烽臺)[고령가곡여자들등님곡이라(고령가곡여들등님곡이라) 3 페이지 / 전적]

봉화를 올릴 수 있개 되어 있는 곳. 봉홧둑

봉두(蓬頭)[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52 페이지 / 전적]

「蓬頭」― 흩으러진 머리털이 飛蓬과 같다는 말임.晋書 王徽之傳에 「徽之가 大司馬 桓溫의 叅軍이 되어 蓬首散帶하고 府事를 다스리지 않았다」하였음. 여기는 王羲之를 말한 것임.

봉두난발(蓬頭亂髮)[권학가 6 페이지 / 전적]

봉발(蓬髮). 쑥대강이같이 마구 흐트러진 머리털.

봉란(鳳鸞)[석천집(石川集二-五)2-5 104 페이지 / 전적]

봉황새와 난새, 신령하다는 상상의 새.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