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본관폐 불안하다[북쳔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본관에게 폐를 끼칠까봐 불편하고 미안하다.
본국제본(本國題本)[문청공연행일기(文淸公燕行日記) 27 페이지 / 전적]
공문(公文)을 말한다.
본대오지(本大吾之)[이율곡선생권선가(李栗谷先生勸善歌) 6 페이지 / 전적]
본래 나를 크게 함.
본들오는[이율곡선생권선가(李栗谷先生勸善歌) 9 페이지 / 전적]
불어오는. 찾아오는.
본란말치(本亂末治)[가사소리 10 페이지 / 전적]
근본이 어지러운데 말단만 다스리려고 함.
본말(本末)은 서로 구분되어 상승(相承)하되[삼강오륜가 서 5 페이지 / 전적]
본말지분상승(本末之分相承).
본바탕[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103 페이지 / 전적]
論語 陽貨篇에 「不日堅平 磨而不磷 不日白平 湟而不緇」라는 대문이 있는데 이는 사람의 不善이 자기를 능히 더럽히지 못한다는 말임.
본방으로[은삭가 14 페이지 / 전적]
본방(本方)은 본업(本業) 즉, 주가 되는 직업이나 일.
본방으로[은삭가 14 페이지 / 전적]
본방(本方)은 본업(本業) 즉, 주가 되는 직업이나 일.
본부(本夫)[권왕가 28 페이지 / 전적]
본남편.
본색(本色)[백세보중(百世葆重 四)4 45 페이지 / 전적]
조세를 징수하는데 있어서 미곡(쌀)을 본색이라 하고, 은전銀錢으로 환산한 것을 절색折色이라 했다.
본성(本性)[츅친서라 5 페이지 / 전적]
사람이 본디부터 가진 성질.
본수(本倅)[북쳔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본관(本官).
본습(本習)[벌교사(벌교) 6 페이지 / 전적]
지금까지 익혀 배워서 습관적으로 몸에 밴 것.
본시(本是)[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44 페이지 / 전적]
본디.
본신(本身)이 하류(下流)하여[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18 페이지 / 전적]
본래의 산줄기가 흘러내려.
본심(本心)[추월감 9 페이지 / 두루마리]
꾸밈이나 거짓이 없는 참마음.
본심(本心)[여자행신가 11 페이지 / 전적]
본디부터 변함없이 그대로 가지고 있는 마음.
본심(本心)[여자행신가 11 페이지 / 전적]
본디부터 변함없이 그대로 가지고 있는 마음.
본연(本然)[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73 페이지 / 전적]
「本然」- 性을 말함.性에는 本然之性과 氣質之性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