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봉래 방장 영주산(蓬萊方丈瀛洲山)[사친가1(思親歌(一)) 2 페이지 / 전적]

중국 전설에 나오는 삼신산(三神山)의 하나하나를 두고 이름.

봉래(蓬萊)[석천집(石川集二-三)2-3 144 페이지 / 전적]

봉래산(蓬萊山). 신선이 산다는 전설의 산.

봉래(蓬萊)[옥설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전설에서 나타나는 가상적 영산(靈山)인 삼신산(三神山) 가운데 하나. 동쪽 바다의 가운데에 있으며, 신선이 살고 불로초와 불사약이 있다고 함.

봉래(蓬萊)[궁월가라 8 페이지 / 전적]

봉래산(蓬萊山).중국 전설에서 나타나는 가상적 영산(靈山)인 삼신산(三神山) 가운데 하나.동쪽 바다의 가운데에 있으며, 신선이 살고 불로초와 불사약이 있다고 함.

봉래(蓬萊)[금강산유람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금강산의 별칭. 여름의 금강산을 달리 이르는 말.

봉래(蓬萊)[녁대가(녁가) 57 페이지 / 전적]

중국 전설에서 나타나는 가상적 영산(靈山)인 삼신산(三神山) 가운데 하나. 동쪽 바다의 가운데에 있으며, 신선이 살고 불로초와 불사약이 있다고 함.

봉래(逢萊)[석천집(石川集二-五)2-5 99 페이지 / 전적]

전설로 알려진 삼신산의 하나.

봉래, 방장, 영주[신정 도덕가(新訂 道德歌) 4 페이지 / 전적]

삼신산(三神山) 신선(神仙)이 사는 곳.

봉래蓬萊[ 1 페이지 / ]

신선이 산다는 봉래산으로 삼신산의 하나.

봉래궁(蓬萊宮)[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39 페이지 / 전적]

「蓬萊宮」―唐나라 대궐 大明宮의 異稱이므로 빌려 쓴 것임.

봉래도가[은삭가 7 페이지 / 전적]

봉래산(蓬萊山)임. 중국 전설에 나타나는 가상적 영산(靈山)인 삼신산(三神山) 가운데 하나. 동쪽 바다 가운데에 있으며, 신선이 살고 불로초와 불사약이 있다고 함.

봉래도가[은삭가 7 페이지 / 전적]

봉래산(蓬萊山)임. 중국 전설에 나타나는 가상적 영산(靈山)인 삼신산(三神山) 가운데 하나. 동쪽 바다 가운데에 있으며, 신선이 살고 불로초와 불사약이 있다고 함.

봉래산[화류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에서 가상으로 만든 삼신산 가운데 하나. 동쪽 바다 가운데 있는데 신선이 살고 불로초가 있다는 곳. 삼신산은 봉래산(蓬萊山), 방장산(方丈山), 영주산(瀛州山)을 말한다. 또한 봉래산은 우리의 금강산을 여름에 칭하는 이름이다

봉래산(蓬萊山)[츅친서라 6 페이지 / 전적]

중국 전설에서 나타나는 가상적 영산(靈山)인 삼신산(三神山) 가운데 하나. 동쪽 바다의 가운데에 있으며, 신선이 살고 불로초와 불사약이 있다고 한다. 이밖에 우리나라 금강산(金剛山)의 여름을 대신 부르기도 한다.

봉래산(蓬萊山)[로인가 16 페이지 / 전적]

1 중국 전설에서 나타나는 가상적 영산(靈山)인 삼신산(三神山) 가운데 하나. 동쪽 바다의 가운데에 있으며, 신선이 살고 불로초와 불사약이 있다고 함. 2 여름의 금강산을 달리 이르는 말. 본문에서는 2의 의미.

봉래산(蓬萊山)[경영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전설에서 나타나는 가상적 영산(靈山)인 삼신산(三神山) 가운데 하나. 동쪽 바다의 가운데에 있으며, 신선이 살고 불로초와 불사약이 있다고 함.

봉래산(蓬萊山)[화조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의 전설상의 산. 영주산(瀛州山) ·방장산(方丈山)과 더불어 발해(渤海) 해상에 있었다고 전하며, 그곳에 선인(仙人)이 살며 불사(不死)의 영약(靈藥)이 있다고 함.

봉래산(蓬萊山)[춘몽가(츈몽가) 34 페이지 / 전적]

도를 성취한 신선.

봉래산(蓬萊山)[춘몽가(츈몽가) 33 페이지 / 전적]

중국 전설에서 나타나는 가상적 영산(靈山)인 삼신산(三神山) 가운데 하나.동쪽 바다의 가운데에 있으며, 신선이 살고 불로초와 불사약이 있다고 함.

봉래산(蓬萊山)[상사가라 11 페이지 / 전적]

중국 전설에서 나타나는 가상적 영산(靈山)인 삼신산(三神山) 가운데 하나. 동쪽 바다의 가운데에 있으며, 신선이 살고 불로초와 불사약이 있다고 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