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본연(本然)[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69 페이지 / 전적]

「本然」― 性에는 本然과 氣質의 두가지가 있음

본지풍광(本地風光)[원적가 5 페이지 / 전적]

선불교의 수많은 공안과 옛 선사들의 일화를 통해 화두의 의미를 설명한 책. 선종 전통 양식의 법문으로 따르고 있어 수시(垂示), 본칙(本則), 염(拈), 송(頌), 착어(着語) 등의 구조로 구성됨.

본지풍광(本地風光)[백발가 3 페이지 / 전적]

선불교의 수많은 공안과 옛 선사들의 일화를 통해 화두의 의미를 설명한 책. 선종 전통 양식의 법문으로 따르고 있어 수시(垂示), 본칙(本則), 염(拈), 송(頌), 착어(着語) 등의 구조로 구성됨.

본진(本陣)[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4 페이지 / 전적]

본영(本營)과 같은 말로 군사를 지휘를 하는 본부를 말함.

본진(本陣)[한양가라 96 페이지 / 전적]

군대 지휘를 통솔하는 본부.

본집[청춘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본가(本家). 자기 가족이 살고 있는 집. 여자는 출가하기 전의 집.

본처(本妻)[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4 페이지 / 전적]

첩에 상대(相對)하여 '아내'를 일컫는 말.

본처(本妻)[합강정가(合江亭歌) 8 페이지 / 전적]

첩에 상대(相對)하여 '아내'를 일컫는 말.

본초(本草)[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7 페이지 / 전적]

식물·광물·동물로부터 얻어지는, 질병 치료를 위한 물질. 좁게는 식물의 전초(全草)· 근(根)·목(木)·피(皮)·과실 종자 등만을 이름.

본태성(本胎性)[나부가 8 페이지 / 전적]

어떤 병이나 증세(症勢)가 어떠한 까닭 없이 본디의 체질적(體質的)인 영향(影響) 때문에 일어나는 성질(性質).

본태성(本胎性)[나부가 8 페이지 / 전적]

어떤 병이나 증세(症勢)가 어떠한 까닭 없이 본디의 체질적(體質的)인 영향(影響) 때문에 일어나는 성질(性質).

본행(本行)[권왕가 10 페이지 / 전적]

앞에 든 각주 93 참조.

본행(本行)[권왕가 10 페이지 / 전적]

앞에 든 각주 93 참조.

본행(本行)[권왕가 12 페이지 / 전적]

성불할 이(因)이 되는 근본의 행법(行法).

본행(本行)[권왕가 16 페이지 / 전적]

앞에 든 각주 93 참조.

볼게온이[상사곡이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볼 것이니. 보게 될 것이니.

볼작시며[백발가(白髮歌) 2 페이지 / 전적]

볼 것이며.

볼작시며[백발가(白髮歌) 4 페이지 / 전적]

볼 것이며.

볼작시면[화초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볼 것 같으면.

볼작시면[화초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볼 것 같으면.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