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봉래산(蓬萊山)[회츈가라 2 페이지 / 전적]
중국 전설에서 나타나는 가상적 영산(靈山)인 삼신산(三神山) 가운데 하나. 동쪽 바다의 가운데에 있으며, 신선이 살고 불로초와 불사약이 있다고 함.
봉래선자(蓬萊仙子)[화전가1 9 페이지 / 전적]
봉래산에 사는 신선,
봉래선자(蓬萊仙子)[화전가2 9 페이지 / 전적]
봉래산에 사는 신선,
봉래선자(蓬萊仙子)[비틀노래 4 페이지 / 두루마리]
봉래는 영주(瀛州), 방장(方丈)과 같이 중국 전설상에 나오는 삼신산(三神山)의 하나로 이 산에 사는 신선을 봉래선자라 부른다.
봉래선자(蓬萊仙子)[한별곡 16 페이지 / 두루마리]
송시열의 탁발(濯髮)에 나오는 구절. 신선경에 사는 신선.濯髮淸川落未收 一莖飄向海東流 蓬萊仙子如相見 應笑人間有白髮
봉래신선(蓬萊神仙)[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64 페이지 / 전적]
봉래산에 사는 신선으로 봉래산은 중국 전설에서 나타나는 가상적 영산(靈山)인 삼신산(三神山) 가운데 하나. 동쪽 바다의 가운데에 있으며, 신선이 살고 불로초와 불사약이 있다고 함.
봉래영주(蓬萊瀛洲)[자치가라 24 페이지 / 두루마리]
영주산, 봉래산. 중국의 전설 속의 신선이 산다는 산이름.
봉래풍악(蓬萊楓岳) 원화동천(元化洞天)[금강산유람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봉래·풍악산에 있는, 조화의 근원이 되는 골짜기라는 뜻. 봉래와 풍악은 모두 금강산의 별칭임.
봉력(鳳曆)[송강집(松江集一)1 91 페이지 / 전적]
고대(古代)에 역정(曆正)을 봉조씨(鳳鳥氏)라 칭하였음.
봉력(鳳曆)[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37 페이지 / 전적]
「鳳曆」―左傳昭公十七年「少皡摯之立也 鳳鳥適至故紀於鳥…… 鳳鳥氏 曆正也」라 했고 註에「鳳이 天時를 알기 때문에 曆正의 官을 이름한 것이다」라 했음
봉련(鳳輦)[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90 페이지 / 전적]
「鳳輦」― 仙人의 수레임. 仙傳拾遺에「西王母乘翠鳳之輦而來 與穆王歡會」란 故事가 있으므로 빌려 쓴것임.
봉록(俸祿)[소년애절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옛날, 나라에서 벼슬아치들에게 주던 곡식(穀食)ㆍ돈 따위를 일컫는 말.
봉록(俸祿)[소년애절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옛날, 나라에서 벼슬아치들에게 주던 곡식(穀食)ㆍ돈 따위를 일컫는 말.
봉림대군(鳳林大君)[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35 페이지 / 전적]
조선 제17대 왕 효종이 임금이 되기 전의 이름.
봉마(蓬痲)[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90 페이지 / 전적]
「蓬麻」―史記에「蓬生麻中 不扶自直 白沙在泥中 與之皆黑者土地敎化 使之然也」라 했는데、이는 善을 익히면 善해지고 惡을 익히면 惡해진다는 것을 입증한 말임。荀子의 說苑參照
봉만(峰巒)[효자가 3 페이지 / 전적]
산꼭대기의 뾰족뾰족한 봉우리.
봉만(峰巒)[축산별곡 3 페이지 / 전적]
산봉우리.
봉만(峰巒)[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30 페이지 / 전적]
꼭대기가 뾰쪽뾰쪽하게 솟은 산봉우리.
봉만(峰巒)[구산가(求山歌) 5 페이지 / 전적]
꼭대기가 뾰족하게 솟은 산봉우리.
봉만(峰巒)[옥산가라 40 페이지 / 전적]
꼭대기가 뾰족뾰족하게 솟은 산봉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