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빈한(貧寒)[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52 페이지 / 전적]
살림이 가난하여 집안이 쓸쓸함.
빈한(貧寒)[무제(고하매) 3 페이지 / 두루마리]
살림이 가난하여 집안이 쓸쓸하다.
빈한(貧寒)[무제(고하매) 3 페이지 / 두루마리]
살림이 가난하여 집안이 쓸쓸하다.
빈한(貧寒)[김대비훈민가(김비훈민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살림이 가난하여 집안이 쓸쓸함.
빈한(貧寒)[막소가(莫笑歌) 5 페이지 / 전적]
가난하고 쓸쓸함.
빈한(貧寒)[심시천인설(尋時天人說) 3 페이지 / 전적]
가난하고 쓸쓸함.
빈한(貧寒)[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8 페이지 / 전적]
가난하고 쓸쓸함.
빈한(貧寒)[합강정가(合江亭歌) 12 페이지 / 전적]
가난하고 쓸쓸함.
빈한궁천(貧寒窮賤)[별한가 15 페이지 / 전적]
집안이 매우 가난하여 몹시 쓸쓸하고 궁색하고 천함.
빈희위부[김씨효행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미상. 혹 이빈위부(移貧爲富)의 잘못으로서 가난함을 옮겨 부유하게 됨이라는 뜻이거나 빈희위부(貧喜爲富), 즉 가난했지만 기쁘게도 부유하게 됨이라는 뜻이 아닐까 함.
빈키도[앤여가(여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빈한(貧寒)하기도. 가난하기도.
빗기[신힁가라 13 페이지 / 전적]
‘가로(왼쪽에서 오른쪽의 방향으로)’의 옛말. ‘비스듬히(수평이나 수직이 되지 아니하고 한쪽으로 기운 듯하게)’의 옛말.
빗돌[환무자탄가 9 페이지 / 전적]
비석(碑石).
빙가(聘家)[칠여가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처가(妻家). 아내의 본가.
빙거(憑㨿)[경화가(警和歌) 34 페이지 / 전적]
사실을 증명할 만한 근거를 댐.
빙거(憑㨿)[경화가(警和歌) 34 페이지 / 전적]
사실을 증명할 만한 근거를 댐.
빙거(憑據)[론학가권지일 37 페이지 / 전적]
사실을 증명할 근거를 댐. 또는 그 근거.
빙거(憑據)[론학가권지일 37 페이지 / 전적]
사실을 증명할 근거를 댐. 또는 그 근거.
빙그레[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42 페이지 / 전적]
「嫣然」―海棠花를 말함. 蘇軾의 定惠院海棠詩에「嫣然一笑竹籬間 滿山桃李摠麤俗 陋邦何處得此花 無乃好事移西蜀」이라 하였음.
빙란憑欗[ 1 페이지 / ]
난간에 기대어 의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