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빈천(貧賤)[셔운가 21 페이지 / 전적]
가난하고 천함.
빈천(貧賤)[셔운가 21 페이지 / 전적]
가난하고 천함.
빈천(貧賤)[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7 페이지 / 전적]
가난하고 천함.
빈천(貧賤)[합강정가(合江亭歌) 11 페이지 / 전적]
가난하고 천함.
빈천(貧賤)[거취가(去取歌) 6 페이지 / 전적]
가난하고 천함.
빈천(賓天)[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52 페이지 / 전적]
천자(天子)가 세상을 떠남을 이르던 말.
빈천(賓天)[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1 페이지 / 전적]
천자(天子)가 세상을 떠남을 이르던 말.
빈천곤궁(貧賤困窮)[정기안심가(定基安心歌) 8 페이지 / 전적]
가난하고 몹시 궁핍하여 어려움.
빈천자(貧賤者)[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2 페이지 / 전적]
가난하고 천한 사람.
빈천자(貧賤者)[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2 페이지 / 전적]
가난하고 천한 사람.
빈청[백세보중(百世葆重 四)4 3 페이지 / 전적]
조선시대 궁궐 내에 설치한 고관들의 회의실
빈청(賓廳)[송강집(松江集六)6 94 페이지 / 전적]
정부 대신들이 정사를 하는 곳
빈청(賓廳)[문청공유사 사계수필(文淸公遺事 沙溪手筆) 20 페이지 / 전적]
조선 때 궁중에서 대신이나 비변사(備邊司)의 당상들이 모여서 회의하던 곳.
빈친빈족(貧親貧族)[충효가(忠孝歌) 33 페이지 / 전적]
가난한 가족이나 친척.
빈풍(豳風)[ 1 페이지 / ]
[시경 詩經]가운데 국풍國風의 편명으로 농사짓는 어려움을 말한 농부가
빈풍(豳風)[석천집(石川集二-五)2-5 142 페이지 / 전적]
시경(詩經)가운데 국풍(國風)의 편명(篇名). 농사짓는 어려움을 적은 내용으로 농부가라는 뜻으로 쓰임.
빈풍邠風[ 1 페이지 / ]
豳風과 같음. 여기서는 농경 생활을 읊은 시경의 칠월편을 이름.
빈풍시(豳風詩)[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시경(詩經)』의 한 제목을 말한다.
빈풍시(豳風詩)[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시경(詩經)』의 한 제목을 말한다.
빈풍칠월(豳風七月)[나부가라(라부가라) 6 페이지 / 전적]
『시경』에 나오는 시편으로 주공(周公)이 지은 시. 농사를 장려하여 부강을 일삼은 후직(后稷)의 일을 펴서 성왕(成王)으로 하여금 잊지 말도록 이 노래를 불렀다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