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근심연[앤여가(여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근십년(近十年). 십년 가까이
근심엽무(根深葉茂)[명륜가(明倫歌) 37 페이지 / 전적]
뿌리가 깊고 잎이 무성함.
근어금수(近於禽獸)[몽경시화가(夢警時和歌) 13 페이지 / 전적]
금수에 가깝다. 곧 동물이나 다름없다.
근왕[백세보중(百世葆重 三)3 15 페이지 / 전적]
임금을 위한 일.
근왕병(勤王兵)[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8 페이지 / 전적]
임금에게 충성(忠誠)을 다하는 군사(軍士).
근원[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79 페이지 / 전적]
「源醴」―根源이 있다는 말임.古語의「靈芝有根 醴泉有源」에서 起因된 것임
근유(瑾瑜)[송강집(松江集三)3 25 페이지 / 전적]
아름다운 옥(玉). 사람의 아름다운 재지(才智)에 비유함
근자(勤孜[원시가(源時歌) 2 페이지 / 전적]
부지런히 힘씀.
근자(勤孜)[경세가(警世歌) 4 페이지 / 전적]
부지런히 힘씀.
근자득지(勤者得之)[권농가(권롱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부지런한 자가 얻는다는 뜻으로 쉴새없이 노력하면 얻을 수 있다는 내용이다.
근자득지(勤者得之)[권농가(권롱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부지런한 자가 얻는다는 뜻으로 쉴새없이 노력하면 얻을 수 있다는 내용이다.
근정전(勤政殿)[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81 페이지 / 전적]
경복궁의 정전(正殿)으로 국보 제223호. 조선시대에 임금의 즉위식이나 대례 등을 거행하던 곳으로, 지금의 건물은 임진왜란 때 불탄 것을 고종 4년(1867)에 대원군이 다시 지었음.
근정전(勤政殿)[한흥가라 9 페이지 / 전적]
조선시대 정궁인 경복궁의 중심 건물로, 신하들이 임금에게 새해 인사를 드리거나 국가의식을 거행하고 외국 사신을 맞이하던 곳이다
근정전(勤政殿)[한흥가라 9 페이지 / 전적]
조선시대 정궁인 경복궁의 중심 건물로, 신하들이 임금에게 새해 인사를 드리거나 국가의식을 거행하고 외국 사신을 맞이하던 곳이다
근정전(勤政殿)[한흥가라 9 페이지 / 전적]
조선시대 정궁인 경복궁의 중심 건물로, 신하들이 임금에게 새해 인사를 드리거나 국가의식을 거행하고 외국 사신을 맞이하던 곳이다
근정전(勤政殿)[한양가라 7 페이지 / 전적]
경복궁의 중심 건물로 임금의 즉위식이나 대례 등을 거행하는 곳이다. 현재 건물은 임진왜란 때 불탄 것을 1867년 대원군 때 다시 지은 것이다.
근정전(勤政殿)[셔유곡 18 페이지 / 전적]
경복궁의 중심이되는 정전이며 조선왕실을 상징하는 건축물. 조선 초기부터 국왕의 즉위식 또는 공식적인 대례(大禮)는 이곳에서 거행됨.
근정전(勤政殿)[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75 페이지 / 전적]
경복궁 안에 있는 정전(正殿)이다. 조선 시대에 임금의 즉위식이나 대례 따위를 거행하던 곳으로, 지금의 건물은 임진왜란 때 불탄 것을 고종 4년(1867)에 대원군이 다시 지은 것이다.
근조(芹藻)[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91 페이지 / 전적]
「芹藻」- 芹은 미나리요 藻는 마음임. 詩經 魯頌 泮水의 「思樂泮水 藻采其芹 思樂泮水 藻采其藻」에서 나왔음. 泮官은 太學인데 先生이 李上舍와 함께 成均館에서 居齋하였으므로 말한 것임.
근종(跟從)[김대비훈민가(김비훈민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윗사람을 모시고 뒤를 따라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