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금강산(金剛山)[비틀노래 4 페이지 / 두루마리]
강원도에 있는 산으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아름답기로 유명함.
금강산(金剛山)[육자박이 9 페이지 / 전적]
강원도(江原道) 고성군(高城郡)과 회양군에 걸쳐 있는 이름난 산 봄에는 금강산(金剛山), 여름에는 봉래산(蓬萊山), 가을에는 풍악산(楓嶽山), 겨울에는 개골산(皆骨山)이라고 함.
금강산(金剛山)[육자박이 9 페이지 / 전적]
강원도(江原道) 고성군(高城郡)과 회양군에 걸쳐 있는 이름난 산 봄에는 금강산(金剛山), 여름에는 봉래산(蓬萊山), 가을에는 풍악산(楓嶽山), 겨울에는 개골산(皆骨山)이라고 함.
금강산(金剛山)[육자박이 9 페이지 / 전적]
강원도(江原道) 고성군(高城郡)과 회양군에 걸쳐 있는 이름난 산 봄에는 금강산(金剛山), 여름에는 봉래산(蓬萊山), 가을에는 풍악산(楓嶽山), 겨울에는 개골산(皆骨山)이라고 함.
금강산(金剛山)[북쳔가 18 페이지 / 두루마리]
강원도의 북부에 있는 명산으로 기암괴석이 많고, 곳곳에 폭포와 못이 있어 경치가 매우 아름답다.내무재의 서쪽을 내금강, 동쪽을 외금강, 바다에 솟아 있는 섬들을 해금강이라 부른다.
금강수[붕우들아춘회굑 3 페이지 / 두루마리]
밀교에서 전교관정을 할 때에, 먼저 불도를 닦으려는 사람이 계(戒)를 받으면서 서약의 뜻으로 마시는 물.
금개(禁開)[신절가(臣節歌) 3 페이지 / 전적]
펼치는 것을 금함.
금경(金鏡)[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42 페이지 / 전적]
「金鏡」- 文選 劉峻의 廣絶交論에「聖人握金鏡 闡風烈 龍驤蠖屈 從道汗隆」이라 했는데 註에「金鏡은 明道를 비유한 것이라」하였음.
금계(金鷄)[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71 페이지 / 전적]
「金鷄」- 武夷山에 金鷄洞이 있는데 옛날에 仙鷄가 이 사이에깃들어 울고 있었으므로 이름이 된 것임.朱子의 四曲詩에 「金鷄呼罷無人見 月滿空山水滿潭」이라 하였음」
금계(金鷄)[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18 페이지 / 전적]
「金雞水月」― 四曲의 「金雞叫罷無人見 月滿空山水滿潭」을 말한것.
금고금실(今古琴瑟)[칠석가 1 페이지 / 전적]
예부터 지금까지 부부간의 사랑.
금고문(今古文)[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19 페이지 / 전적]
경학의 금문(今文)과 고문(古文).
금고함성(金鼓喊聲)[자탄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금고는 군중(軍中)에서 호령하는 데 사용하던 징과 북. 함성은 여러 사람이 함께 지르는 고함 소리.
금곡(琴曲)[축산별곡 5 페이지 / 전적]
거문고 가락.
금곡석순(金谷石崇)[금강산유람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석숭은 중국 진(晋)나라의 부호이며 문장가로 후세에 부자를 비유하는 말로 쓰임. 금곡은 중국 하남성(河南省) 낙양현(洛陽縣)에 있는 명승지로, 석숭의 별장이 있었던 곳.
금과(金科)[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19 페이지 / 전적]
「金科」―金科玉條의 畧稱으로 貴重함을 비유한 것임. 文選에실린 揚雄의 劇秦美新에「懿律嘉量 金科玉條」라는 句가 있음.
금관국(金冠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44 페이지 / 전적]
금관가야를 이르는 말.
금관자(金貫子)[팔도안희가 20 페이지 / 전적]
금으로 만든 관자로 정이품, 종이품의 벼슬아치가 달았다.
금관조복(金冠朝服)[무제(▩▩▩▩) 2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 시대에 벼슬아치들이 입던 금관과 조복을 아울러 이르는 말. 문무백관이 조하(朝賀)나 경사 등에 입는 최상급의 공복(公服)이었다.
금관조복(金冠朝服)[무제(▩▩▩▩) 2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 시대에 벼슬아치들이 입던 금관과 조복을 아울러 이르는 말. 문무백관이 조하(朝賀)나 경사 등에 입는 최상급의 공복(公服)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