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글을젹[상사곡이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잘못할 때에. 일을 그르칠 적에.
글읏시 업드도[복션화음록 18 페이지 / 전적]
그릇이 없더라도.
글재[조선충효가 18 페이지 / 두루마리]
글짓는 재주.
글제[북쳔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글의 제목.
글제[팔도가 10 페이지 / 전적]
글의 제목.
글제[팔도가 10 페이지 / 전적]
글의 제목.
글제(題)[남산동이진사효행록(남동이진효횡녹) 13 페이지 / 전적]
글의 제목.
글조리며[환무자탄가 26 페이지 / 전적]
글 읊으며.
글짓는 병[석천집(石川集二-四)2-4 67 페이지 / 전적]
原文의 相如病은 中國 漢代의 賦家 司馬相如가 賦를 짓지 않고는 견디지 못한 습관을 의미함.
글르 지어니[역대가라(역가라) 3 페이지 / 전적]
글자를 만들어내니. 중국 전설상의 황제(黃帝)의 신하, 창힐(蒼詰)이 새 발자국을 보고 그에 착안하여 처음으로 글자를 만들냈다는 전설이 있다.
금[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6 페이지 / 전적]
自畫」- 스스로 땅을 그어 限을 삼는다는 말임. 論語 雍篇에「力不足者 中道而廢 今女畫」이라 하였음
금[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30 페이지 / 전적]
「金鳥」- 日中에 三足鳥가 있다하여 세상에서는 해를 金鳥라稱함. 膝遇의 慶雲抱日賦「麗碧雷而增媚 捧金鳥而徐飛」라 하였음. 扶桑은 東을 말함.
금[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117 페이지 / 전적]
「金繩鐵索」-筆勢를 형용하는 말임。韓愈 石鼓歌에 「金繩鐵索鎻紐壯 古鼎躍水龍騰梭」가 있음。
금[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36 페이지 / 전적]
「中書」- 論語 雍也篇에「九不足者 中道而廢今女書」이란 대문이 있음.
금(金)광산(山)[이율곡선생권선가(李栗谷先生勸善歌) 7 페이지 / 전적]
금강산(金剛山)을 잘못 쓴 것임.
금가옥당[효부가 19 페이지 / 전적]
황금이나 옥으로 지었다는 집. 여기서는 금이나 옥으로 지은 집이 아니고 좋은 집을 뜻함.
금각령[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11 페이지 / 두루마리]
금강령. 집 앞 고개인 듯.
금간옥척(金簡玉尺)[궁장가(宮墻歌) 2 페이지 / 전적]
금간(金看)은 죽간대신 쇠에 글자를 새겨넣은 책을 말하며, 옥척(玉尺)은 옥으로 만든 자를 말한다.
금강대(金剛臺)[관동별곡 5 페이지 / 전적]
표훈사 북쪽에 있는 석벽 이름.
금강산(金剛山)[팔도안희가 4 페이지 / 전적]
강원도 고성군에 위치한 산으로 동서길이 약 40km, 남북길이 약 60km, 면적은 약 530㎢이다. 최고봉인 비로봉(1,638m)을 중심으로 북쪽에는 오봉산, 옥녀봉, 상등봉, 선창산, 금수봉, 서쪽에는 영랑봉, 용허봉, 남쪽에는 월출봉, 일출봉, 차일봉, 백마봉, 동쪽에는 세존봉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