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금광수[옥산가라 5 페이지 / 전적]
충청남도와 전라북도의 경계를 이루는 강인 금강의 오기(誤記).
금구(金溝)[석천집(石川集二-四)2-4 79 페이지 / 전적]
金溝』는 『宮中苑囿之溝 』즉 宮中을 의미하며,『戰爭』은 科擧에 應試하여 文章才能을 겨룸을 의미함.
금구(金溝)[호남가라 3 페이지 / 전적]
전라북도 김제시 동부에 위치한 면.
금구(金溝)[호남가(湖南歌) 4 페이지 / 전적]
전라북도 김제군(金堤郡) 동부에 위치한 곳으로 노령산맥과 호남평야의 접경지대에 위치한다.
금구낙서[송구영신가권지일(送舊迎新歌卷之一) 19 페이지 / 전적]
각주 7) 참조.
금구낙서(金龜洛書)[송구영신가권지일(送舊迎新歌卷之一) 6 페이지 / 전적]
文王 때, 거북이가 낙서(洛書)를 짊어지고 나타남. 이것이 후천팔괘가 된다.
금구소설(金口所說)[일회심곡(一回心曲) 10 페이지 / 전적]
‘금구(金口)’는 부처를 뜻하며, 부처의 말씀.
금구을[용문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금구(衾具)를. ‘금구’는 ‘이부자리’이지만, 여기서는 ‘방석’을 뜻한다.
금궤(金匱)[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47 페이지 / 전적]
「金匱」- 史記 太史公自序에「紬史記石室金匱之書」라 했는데註에「金匱, 石室은 다 國家에서 書籍을 收藏하는 곳이다」하였음.
금귀(金龜)[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43 페이지 / 전적]
「金龜」―唐의 初期에는 品官이 다 魚를 찾았는데 뒤에 魚를龜로 바꾸고서 三品의 이상은 金으로써 장식하였음. 李白詩에「金龜換酒處 却憶淚沾巾」이라는 句가 있음.
금규[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85 페이지 / 전적]
중국 한(漢) 나라 때 궁궐에 금마문(金馬門)이 있었는데, 금문(金門)이나 금규(金閨)로도 약칭하였다. 임금과 가까운 곳을 말함.《文選 江菴別賦》
금기(禁忌)[츅친서라 12 페이지 / 전적]
마음에 꺼려 하지 않거나 피함.
금난(金蘭)[송강집(松江集六)6 18 페이지 / 전적]
극친한 붕우간의 정의(情誼). 금난지교(金蘭之交). 周易 繫辭에「基臭如蘭基利斷金」
금난(金蘭)[고분가 3 페이지 / 전적]
친구 간의 정의가 매우 두터운 상태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로 『역경(易經)』에 나오는 말이다.
금난(金蘭)[고분가 3 페이지 / 전적]
친구 간의 정의가 매우 두터운 상태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로 『역경(易經)』에 나오는 말이다.
금난전(金鑾殿)[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04 페이지 / 전적]
「金鑾殿」―唐玄宗이 翰林學士 李白을 金鑾殿에서 召見 하였으므로 빌려 쓴 것임.
금낭(錦囊)[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88 페이지 / 전적]
「錦囊」-唐詩記事에 「李賀가 매일 아침 나갈적에는 弱馬를 타고 작은 奚奴에게 錦囊을 짊어지어 뒤를 따르게 하고 事物을 만나면 바로 詩를 지어 써서 囊中에 넣는다」라 하였음。
금낭(錦囊)[당산조션가 7 페이지 / 전적]
비단으로 만든 주머니.
금낭을[용문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금낭(錦囊)을. 비단 주머니를.
금년(今年)[츅친서라 4 페이지 / 전적]
올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