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긔히고[앤여가(여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귀(貴)히 하고. 귀하게 여기고.
긔[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36 페이지 / 전적]
그렇게.
긔[탄식가라 1 페이지 / 전적]
그렇게.
기(冀) 각결(卻缺)[ 1 페이지 / ]
중국 진(晉)나라 때의 기주(冀州). 중국 진(晉)나라의 대부.
기(冀) 각결(卻缺)[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89 페이지 / 전적]
중국 진(晉)나라 때의 기주(冀州). 중국 진(晉)나라의 대부.
기(冀), 각결(卻缺)[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21 페이지 / 전적]
중국 진(晉)나라 때의 기주(冀州), 중국 진(晉)나라의 대부.
기(冀),각결(卻缺)[자경별곡 12 페이지 / 전적]
중국 진(晉)나라 때의 기주冀州). 중국 진(晉)나라의 대부.
기(期)한[나웅하상토굴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약속한.
기(記)[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110 페이지 / 전적]
唐의 詩人 李賀의 字는 長吉인데 七歲에 能詩하여 韓愈, 皇甫湜에게 찬양을 받았다. 그가 죽자 上帝는 白樓記를 짓기 위하여 불러갔다는 말이 있음.
기(記)[석천집(石川集二-一)2-1 120 페이지 / 전적]
李賀가 꿈에 天使가 와서 「天上의 白玉樓가 이루워져 上帝가 君을 불러 記를 짓게 하려한다」한 것을 보았는데 數日만에 죽었다.修文泉路도 같은 뜻
기, 풍(岐豊)[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48 페이지 / 전적]
「岐豊」- 周太王이 처음에 나라를 岐山으로 옮겼고 文王은 豊에 都邑하였는데 모두 周의 舊厚로 不過百里의 작은 나라임.漢書 郊祀志에 太王遷國于岐梁 文武興于酆鄗」라 하였음. 孟子公孫丑篇에「文王以百里興」
기가(起家)[경영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기울어져 가는 집안을 다시 일으킴. 벼슬자리에 천거되어 입신출세함.
기간앵무능언어(其間鸚鵡能言語)[한양가라 21 페이지 / 전적]
기간앵무능언어(其間鸚鵡能言語)
기갈(飢渴)[경운가 25 페이지 / 전적]
굶주림.
기갈(飢渴)[몽즁운동가 2 페이지 / 전적]
굶주림.
기갈(飢渴)[옥단춘전이라 12 페이지 / 전적]
목마름과 굶주림.
기갈(飢渴)[낙수가 21 페이지 / 전적]
배고픔.
기갈(飢渴)[우애가(友愛歌) 4 페이지 / 전적]
배가 고프고 목이 마름. 굶주림과 목마름.
기강(紀綱)[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42 페이지 / 전적]
규율과 법도를 아울러 이르는 말.
기강(紀綱)[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7 페이지 / 전적]
규율(規律)과 질서(秩序). 기율과 법강(法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