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기망월(旣望月)[무제(▩▩▩▩) 1 페이지 / 두루마리]
음력 열엿샛날인 보름달.
기망월(旣望月)[무제(▩▩▩▩) 1 페이지 / 두루마리]
음력 열엿샛날인 보름달.
기맥(氣脉)이 탈족(脫足)하니[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14 페이지 / 전적]
그 중의 한 맥이 엉뚱한 곳으로 뻗어나감.
기면(其面)을 필옹폐(必擁蔽)하며[분별가(分別歌) 5 페이지 / 전적]
그 얼굴을 가리고 싸며.
기면(其面)을 필옹폐(必擁蔽)하며[거취가(去取歌) 1 페이지 / 전적]
그 얼굴을 가리고 싸며.
기명(器皿)[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1 페이지 / 전적]
그릇붙이. 살림살이에 쓰는 온갖 그릇.
기명(器皿)[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40 페이지 / 전적]
살림에 쓰는 온갖 그릇.
기명(器皿)[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3 페이지 / 두루마리]
살림살이에 쓰이는 그릇을 통틀어 이르는 말.
기명(器皿)[여자행신가 4 페이지 / 전적]
살림살이에 쓰는 그릇을 통틀어 이르는 말.
기명(器皿)[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3 페이지 / 두루마리]
살림살이에 쓰이는 그릇을 통틀어 이르는 말.
기명(器皿)[여자행신가 4 페이지 / 전적]
살림살이에 쓰는 그릇을 통틀어 이르는 말.
기명(器皿)[김씨효행가 36 페이지 / 두루마리]
살림살이에 쓰는 그릇을 통틀어 이르는 말.
기명(器皿)[합강정가(合江亭歌) 10 페이지 / 전적]
그릇.
기명도 만컨마는[효봉구고치산가 22 페이지 / 전적]
기명(器皿)도 많건마는. 그릇도 많건마는.
기명성의 을놀[형제붕우소회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계명성(鷄鳴聲)에 잠을 놀래. 새벽 닭 울음소리에 잠이 깨어.
기명언[석천집(石川集二-五)2-5 10 페이지 / 전적]
기대승(奇大升)을 말하는데 명언은 자요 호는 고봉(高峰)이다.
기명언(奇明彦)[석천집(石川集二-四)2-4 90 페이지 / 전적]
朝鮮 中期 文人 奇大升의 字가 明彦.
기묘사화(己卯士禍)[충효가 5 페이지 / 전적]
중종 14년(1519) 남곤․심정․홍경주 등의 재상들에 의해 조광조․김정․김식 등 사림(士林)이 화를 입은 사건.
기묘사화(己卯士禍)[한흥가라 58 페이지 / 전적]
조선 중종 14년(1519)에 일어난 사화. 남곤, 심정, 홍경주 등의 훈구파가 성리학에 바탕을 둔 이상 정치를 주장하던 조광조, 김정 등의 신진파를 죽이거나 귀양 보냈다.
기묘사화(己卯士禍)[한흥가라 58 페이지 / 전적]
조선 중종 14년(1519)에 일어난 사화. 남곤, 심정, 홍경주 등의 훈구파가 성리학에 바탕을 둔 이상 정치를 주장하던 조광조, 김정 등의 신진파를 죽이거나 귀양 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