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기리기연(其理其然)[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5 페이지 / 전적]
스스로 자연스럽게 그렇게 되는 이치.
기리기연(其理其然)[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11 페이지 / 전적]
스스로 자연스럽게 그렇게 되는 이치.
기리내니[황젼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써내려가니.
기리면서[앤여가(여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찬사(讚辭)하면서. 칭송하면서.
기리옹(綺里翁)[석촌별곡 8 페이지 / 전적]
기리계(綺里李). 중국 진나라 때 상산(商山)에 은거하였던 사호(四皓) 중의 한 사람이다.
기리와[용문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기리와라. 칭찬할 만해라.
기린[자탄가 12 페이지 / 두루마리]
기다린. 그리운.
기린(麒麟)[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13 페이지 / 전적]
기린과의 포유동물.
기린(麒麟)갓튼[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25 페이지 / 전적]
기린같은. ‘기린(麒麟)’ 은 훌륭한 인물을 뜻함.
기린각(麒麟閣)[과부가(寡婦歌) 1 페이지 / 전적]
중국 한대(漢代)에 장안에 세운 누각. 무제(武帝)가 기린을 얻었을 때 세운 것으로, 뒷날 선제(宣帝)가 나라에 큰 공을 세운 11인의 초상을 여기에 건 것으로 유명함.
기린각(麒麟閣)[송강집(松江集一)1 85 페이지 / 전적]
한선제(漢宣帝)가 국가(國家)에 유공한 신하 十一人의 초상을 기린각 (麒麟閣)에 그려 붙였음.
기린각(麒麟閣)[송강집(松江集二)2 82 페이지 / 전적]
한선제(漢宣帝)가 공신상(功臣像)을 그려서 기린각에 걸었는데 모두 十一人이었다.
기린각(麒麟閣)[거창가라 7 페이지 / 전적]
중국 한나라의 무제가 장안의 궁중에 세운 전각.선제 때 곽광 외 공신 11명의 초상을 그려 각상(閣上)에 걸었다고 함.
기린각(麒麟閣)[아림가(娥林歌) 7 페이지 / 전적]
중국 한나라의 무제가 장안의 궁중에 세운 전각. 선제 때 곽광 외 공신 11명의 초상을 그려 각상(閣上)에 걸었다고 함.
기린각(麒麟閣)[영산초장이라 3 페이지 / 전적]
전한(前漢)시대 무제(武帝)가 기린을 얻었을 때 건축한 누각. 선제(宣帝)가 공신 열 한 명의 상(像)을 그려 각(閣) 위에 걸었음.
기린각(麒麟閣)[도덕가라 1 페이지 / 전적]
전한(前漢)시대 무제(武帝)가 기린을 얻었을 때 건축한 누각. 선제(宣帝)가 공신 열 한 명의 상(像)을 그려 각(閣) 위에 걸었음.
기린굴(麒麟窟)[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38 페이지 / 전적]
「麒獜窟」- 平壤의 九梯宮內 牧丹峯下에 있는데 東明聖王이 麒獜馬를 이에서 렀으므로 後人이 立石하여 誌한것임. 세상에서 傳하기를「王이 麒獜馬를 타고 이 窟에 들어가 땅속에서朝天石이 솟아나와 하늘로 올라갔다」함. 與地 勝覽에 보임.
기린굴(麒麟窟)[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69 페이지 / 전적]
「麒麟窟」―浮碧樓아래에 있는데 東明王 麒麟馬를 이곳에서 길렀으므로 後人이 立石하여 誌하였음.
기린굴(麒麟窟)[한양가라 80 페이지 / 전적]
평양 모란봉 밑에 있는 굴. 전설에 고구려 동명왕이 말타고 달려서 뚫인 굴이라고 전한다.
기린아(麒麟兒)[사도곡(思悼曲) 3 페이지 / 전적]
지혜와 재주가 뛰어난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