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기산(箕山)[성산별곡 11 페이지 / 전적]
옛날 요 임금 때 허유(許由)와 소부(巢父)가 세간사와 담을 쌓고 숨어 살았다는 하남성(河南省)에 있는 산.
기산(箕山)[사친가1(思親歌(一)) 6 페이지 / 전적]
중국의 하남성(河南省) 등봉현(登封縣)의 동남쪽에 있는 산. 허유(許由)가 요(堯)임금의 양위의 청을 거절하고 은둔했다는 산으로 전해짐.
기산(箕山)[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39 페이지 / 전적]
「箕山穎水」-巢父 許由의 故事를 말한 것임.
기산(箕山)[류월정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하북성 행당현의 서북쪽에 있는 산.
기산(箕山)[녁대가(녁가) 11 페이지 / 전적]
중국 하남성(河南省) 등봉현(登封縣) 동남쪽에 있는 산. 요임금 때 소부(巢父)와 허유(許由)가 숨어살던 곳.
기산영수[은삭가 7 페이지 / 전적]
기산과 영수는 중국 하남성(河南省) 등봉현(登封懸)에 있는 산과 강의 이름. 일명 악령(崿嶺)이라고도 함. 소부와 허유가 명리(名利)를 피하여 살았던 산.
기산영수[은삭가 7 페이지 / 전적]
기산과 영수는 중국 하남성(河南省) 등봉현(登封懸)에 있는 산과 강의 이름. 일명 악령(崿嶺)이라고도 함. 소부와 허유가 명리(名利)를 피하여 살았던 산.
기산영수 별건곤(箕山潁水別乾坤)[옥단춘전이라 35 페이지 / 전적]
인간 세계를 떠나 소부 허유가 살던 기산과 영수. 속세를 등지고 자연과 더불어 사는 순수한 경지를 말함.
기산영수(箕山潁水)[별한가 37 페이지 / 전적]
기산과 영수는 중국 하남성(河南省) 등봉현(登封縣) 동남쪽에 있는 산과 강 이름임. 요(堯)임금 때 소부(巢父)와 허유(許由)가 숨어살던 곳으로 유명함.
기산영수별건곤(箕山潁水別乾坤)[청춘사연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기산과 영수는 산이름과 강이름.하늘과 땅의 경계.
기산의 봉황 울음[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47 페이지 / 전적]
주 나라 문왕 (문왕)이 기양 (岐陽)에 살 때 봉황새가 왔다는 말이있다.《詩經 大雅》
기산주룡(其山主龍)[구산가(求山歌) 3 페이지 / 전적]
무덤 뒤쪽에 있는 주산(主山)
기상(氣像)[츅친서라 6 페이지 / 전적]
사람이 타고난 기개나 마음씨. 또는 그것이 겉으로 드러난 모양.
기상(氣像)[초한가라 23 페이지 / 전적]
사람의 타고난 성품과 몸가짐.
기상(氣像)[자소가(소가) 4 페이지 / 전적]
사람의 타고난 성품과 몸가짐.
기상(氣相)[대동가(동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기색(氣色)’으로 ‘마음의 작용으로 얼굴에 드러나는 빛’의 뜻.
기상(沂上)[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63 페이지 / 전적]
「沂上」― 曾點의 浴沂의 故事인데 위에 나타나 있음
기상(沂上)[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13 페이지 / 전적]
「沂上」―曾點의 浴沂를 말한 것임。위에 자세히 나타나 있음。
기색(氣塞)하다[오륜가라 8 페이지 / 전적]
어떠한 원인으로 인하여 기의 소통이 원활하지 못하고 막히다.
기색(氣塞)하다[가사소리 8 페이지 / 전적]
어떠한 원인으로 인하여 기의 소통이 원활하지 못하고 막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