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5,089개

초패왕(楚覇王)[임잃은시골여자의마지한봄(님일은시골여자의마지한봄) 6 페이지 / 두루마리]

초나라 장수 항우(項羽)를 말함.

초패왕(楚覇王)[우미인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항우(기원전 232~202), 초나라의 왕.

초패왕(楚覇王)[갑지녹이라 22 페이지 / 전적]

항우(기원전 232~202), 초나라의 왕.

초패왕(楚覇王)[갑지녹이라 21 페이지 / 전적]

항우(기원전 232~202), 초나라의 왕.

초패왕(楚覇王)[우미인가라 1 페이지 / 전적]

항우(기원전 232~202), 초나라의 왕.

초패왕(楚覇王)[자치가라 11 페이지 / 두루마리]

초나라의 왕인 항우(項羽)를 다르게 부르는 말.

초패왕(楚覇王)[춘화추동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항우(기원전232~202)를 다르게 부르는 말.

초패왕(楚覇王)[고분가 6 페이지 / 전적]

항우를 달리 이르는 말, 그는 중국 진(秦)나라 말기의 무장(B.C.232~B.C.202)으로 이름은 적(籍), 우는 자(字)이다.숙부 항량(項梁)과 함께 군사를 일으켜 유방(劉邦)과 협력하여 진나라를 멸망시키고 스스로 서초(西楚)의 패왕(霸王)이 되었다.그 후 유방과 패권을 다투다가 해하(垓下)에서 포위되어 자살하였다.

초패왕(楚覇王)[고분가 6 페이지 / 전적]

항우를 달리 이르는 말, 그는 중국 진(秦)나라 말기의 무장(B.C.232~B.C.202)으로 이름은 적(籍), 우는 자(字)이다.숙부 항량(項梁)과 함께 군사를 일으켜 유방(劉邦)과 협력하여 진나라를 멸망시키고 스스로 서초(西楚)의 패왕(霸王)이 되었다.그 후 유방과 패권을 다투다가 해하(垓下)에서 포위되어 자살하였다.

초패왕(楚覇王)[삼팔가(三八歌) 9 페이지 / 전적]

항우(項羽)를 말함.

초패왕(楚覇王)[잣치가라(치라) 22 페이지 / 전적]

초나라의 왕인 항우(項羽)를 다르게 부르는 말.

초패왕(楚覇王)[소상팔경가 12 페이지 / 전적]

초나라의 왕인 항우(項羽)를 다르게 부르는 말.

초패왕(楚覇王)[자치가 13 페이지 / 전적]

초나라의 왕인 항우(項羽)를 다르게 부르는 말.

초패왕(楚覇王)[모여상사가라(모여사가라) 8 페이지 / 전적]

초나라 장수 항우(項羽)를 이르는 말.

초패왕(楚覇王)[녁대가(녁가) 42 페이지 / 전적]

항우(項羽, B.C.232~B.C.202). 중국 진(秦)나라 말기에 유방(劉邦)과 천하를 놓고 다툰 무장. 진나라가 혼란에 빠지자 봉기하여 진군을 도처에서 무찌르고 관중으로 들어가 진을 멸망시킨 뒤 서초 패왕이라 칭했으나 이후, 해하(垓下)에서 유방에게 포위되어 자살했음.

초패왕(楚霸王)[춘몽가(츈몽가) 26 페이지 / 전적]

힘이 산을 뽑을 만큼 매우 셈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초패왕(楚霸王)[창덕가2 83 페이지 / 전적]

항우가 함양에 들어가 진왕 자영을 죽이고 팽성에 도읍하여 서초의 패왕이라 칭한데서 초패왕이라는 말이 나옴.

초패왕(楚霸王)[거창가라 15 페이지 / 전적]

항우(項羽).중국 진(秦)나라 말기의 무장(B.C.232~B.C.202).이름은 적(籍).우는 자(字)이다.숙부 항량(項梁)과 함께 군사를 일으켜 유방(劉邦)과 협력하여 진나라를 멸망시키고 스스로 서초(西楚)의 패왕(霸王)이 되었다.그 후 유방과 패권을 다투다가 해하(垓下)에서 포위되어 자살하였다.

초패왕(楚霸王)[아림가(娥林歌) 16 페이지 / 전적]

항우(項羽). 중국 진(秦)나라 말기의 무장(B.C.232~B.C.202). 이름은 적(籍). 우는 자(字)이다. 숙부 항량(項梁)과 함께 군사를 일으켜 유방(劉邦)과 협력하여 진나라를 멸망시키고 스스로 서초(西楚)의 패왕(霸王)이 되었다. 그 후 유방과 패권을 다투다가 해하(垓下)에서 포위되어 자살하였다.

초패왕(楚霸王)[춘몽가(츈몽가) 26 페이지 / 전적]

항우'를 달리 이르는 말.진나라를 멸망하게 하고 스스로 서초(西楚)의 패왕이 되었다는 데서 유래.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