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5,089개

초혼조(招魂鳥)[사시풍경가라 7 페이지 / 전적]

죽은 사람의 혼령을 부르는 새라는 뜻으로, '두견새'를 이르는 말.

초혼하고[착현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죽은 사람의 혼을 부르는 일

초회왕(楚懷王)[고분가 12 페이지 / 전적]

초나라의 회왕을 이르는 말.

초회왕(楚懷王)[고분가 12 페이지 / 전적]

초나라의 회왕을 이르는 말.

초회왕(楚懷王)[녁대가(녁가) 35 페이지 / 전적]

초나라 회왕(?~B.C.296). 전국시대 초(楚)나라는 한때 세력이 강성했지만, 회왕(懷王)이 장의(張儀)의 변설(辯舌)에 속아 국력을 소진하면서 급격히 쇠락하였음. 회왕(懷王)은 진(秦) 소양왕(昭襄王)과 회담하기 위해 무관(武關)으로 갔으나, 3년 동안 억류되었다가 죽었음.

초갓치[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28 페이지 / 전적]

초개(草芥)같이.

촉(蜀)[활노래 1 페이지 / 두루마리]

촉한(蜀漢, 221~263)은 중국 삼국시대때 유비(劉備)가 지금의 쓰촨성 지역에 세운 나라로 한(漢) 황실의 후예가 세운 마지막 한나라이기 때문에 계한(季漢)이라고도 불린다.

촉(觸)[송강집(松江集三)3 20 페이지 / 전적]

작은 것을 서로 다룬다는 뜻. 莊子에 「有國于蝸之左角者蠻 國于蝸之右 角者曰觸 爭地而鬪伏尸數萬……」

촉고(數罟)[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12 페이지 / 전적]

눈을 썩 잘게 떠서 만든 그물.

촉광(燭光)[북쳔가 39 페이지 / 두루마리]

촛불의 빛.

촉규화(蜀葵花)[초당춘수곡 5 페이지 / 전적]

일명 접시꽃.

촉규화(蜀葵花)[조심가라 3 페이지 / 전적]

접시꽃.

촉규화(蜀葵花)[조심가라 3 페이지 / 전적]

접시꽃.

촉규화(蜀葵花)[사향곡(향곡) 9 페이지 / 전적]

꽃 모양이 접시를 닮아서 접시꽃이라고 부르며 백색 꽃을 백규화(白葵花), 적색 꽃을 적규화(赤葵花)라고 함.뿌리를 촉규근(蜀葵根), 씨를 촉규자(蜀葵子), 줄기와 잎을 촉규모(蜀葵苗)라고 하며 모두 약용함.이 약은 냄새가 없고 맛은 쓰고 성질은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평함.

촉도(蜀途)[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22 페이지 / 전적]

「蜀途」- 途山은 國名인데 禹임금이 途山氏의 女에게 장가들었음. 書經益稷에 「娶于途山 辛壬癸甲」이란 대문이 있음.

촉도(蜀道[북쳔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사천성(四川省)으로 통하는 매우 험한 길로 여기서는 세상에서 살아가기 어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촉도(蜀道)[송강집(松江集四)4 118 페이지 / 전적]

중국(中國) 사천성(泗川省)에 있는 험준한 땅이라 하여 인간의 일이 평탄하지 못함에 비유. 이태백(李太白)의 蜀道難에「蜀道之難難於上靑天」

촉도(蜀道)[헌수가라 9 페이지 / 두루마리]

처세하기 어려운 상황을 이르는 말.

촉도(蜀道)[헌수가라 9 페이지 / 두루마리]

처세하기 어려운 상황을 이르는 말.

촉도(蜀道)[북쳔가 13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사천성(四川省)으로 통하는 매우 험한 길로 여기서는 세상에서 살아가기 어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