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초패왕(楚霸王)[창덕가2 84 페이지 / 전적]
항우가 함양에 들어가 진왕 자영을 죽이고 팽성에 도읍하여 서초의 패왕이라 칭한데서 초패왕이라는 말이 나옴.
초평(楚萍)[송강집(松江集一)1 88 페이지 / 전적]
초소왕(楚昭王)이 강을 건너는데, 강 속에 말만한 물건이 모양은 둥그렇 고 색이 붉은데 곧장 왕의 배로 달려들므로 뱃사람이 잡아오자, 왕(王)은 크 게 괴이히 여겨 사람을 노(魯)나라에 보내어 공자(孔子)에게 물으니, 공자는 말하기를「이는 평실(萍實)인데 패자(覇者)가 얻는다」하였음. 가어(家語)에 보임.
초평(楚萍)[송강집(松江集二)2 102 페이지 / 전적]
초소왕(楚昭王)의 고사(故事)인 평실(萍實)을 말한 것인데 앞에 자세히 나왔음.
초평왕(楚平王)[녁대가(녁가) 25 페이지 / 전적]
중국 춘추시대 초나라의 왕. 아들인 태자(太子) 건(建)의 비로 간택된 진나라의 공녀가 대단한 미인이자 평왕은 그녀를 후궁으로 삼고, 태자 건에게는 다른 여자를 태자비로 주었음. 뒤에 간신 비무기의 모함을 믿고 태자 건도 죽이려고 하였으나, 건은 송나라로 망명하였음.
초하루[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63 페이지 / 전적]
「歲吉」―新歲 의朔日을 말함. 周禮地官大司徒에「正月之吉」이라 했음.
초학(初學)[ 1 페이지 / ]
학문을 처음으로 배우는 것. 또는, 미숙한 학문.
초학(初學)[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84 페이지 / 전적]
학문을 처음으로 배우는 것. 또는, 미숙한 학문.
초학(初瘧)[나부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처음으로 앓는 학질.
초한(楚漢)[옥셜화답 6 페이지 / 전적]
중국의 진(秦)나라 말기에 초나라의 패왕(覇王) 항우(項羽)와 한고조(漢高祖) 유방(劉邦)이 패권을 다투었음.
초한적[은삭가 10 페이지 / 전적]
진말(秦末) 항우와 유방이 분거(分據)하여 왕이라 칭하던 시대.
초한적[은삭가 10 페이지 / 전적]
진말(秦末) 항우와 유방이 분거(分據)하여 왕이라 칭하던 시대.
초한전(楚漢戰)[활노래 3 페이지 / 두루마리]
기원전 206년 진나라의 멸망 이후 벌어진 초나라 패왕 항우와 한나라 왕 유방과의 5년에 걸친 전쟁.
초한제(楚漢帝)[자탄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초나라와 한나라의 왕조.
초한풍진(楚漢風塵)[조심가라 11 페이지 / 전적]
초나라 항우와 한나라 패공이 전쟁할 때 흙먼지를 날리면서 죽음을 무릅쓰고 혈전을 한 것에서 나온 말.
초한풍진(楚漢風塵)[조심가라 11 페이지 / 전적]
초나라 항우와 한나라 패공이 전쟁할 때 흙먼지를 날리면서 죽음을 무릅쓰고 혈전을 한 것에서 나온 말.
초행(初行) 재행(再行) 삼행(三行)[이별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결혼으로 인해 신랑이 처가에 가는 일을 두고 이름.초행(初行) : 처음으로 가는 일. 또는 그 길.재행(再行) : 혼인한 뒤에 신랑이 처음으로 처가에 가는 것.삼행(三行) : 신랑이 세 번째로 처가에 다니러 가는 인사.
초행(醮行)[남천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신랑이 초례를 지내기 위하여 처가로 감.
초행(醮行)[남천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신랑이 초례를 지내기 위하여 처가로 감.
초행(醮行)[똥생연문가라(생연문가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신랑이 초례를 지내기 위하여 처가로 감.
초행(醮行)[동상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신랑이 초례를 지내기 위하여 처가로 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