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5,089개

초행(醮行)[동상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신랑이 초례를 지내기 위하여 처가로 감.

초행(醮行)[부모가훈계하는가사(부모가훈게하는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신랑이 초례(醮禮)를 지내기 위하여 신부의 집으로 감.

초행(醮行)[동국조선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신랑이 초례를 지내기 위하여 신부의 집으로 감.

초행(醮行)[벽천가 14 페이지 / 전적]

신랑이 초례를 지내기 위해 처가로 감.

초행(醮行)[축원하온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신랑이 초례를 지내기 위하여 처가로 감.

초행(醮行)[곽씨세덕가문니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신랑이 초례를 지내기 위하여 처가로 감.

초행례(醮行禮)[자치가 26 페이지 / 전적]

전통적으로 치르는 결혼식.

초혜(草鞋)[츄풍간별곡 차(츄풍간별곡 ) 7 페이지 / 전적]

짚으로 만든 신발.

초혜(草鞋)[감별곡 3 페이지 / 두루마리]

짚신.

초혜(草鞋)[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5 페이지 / 두루마리]

짚신.

초혜(草鞋)[추풍감곡(秋風感曲) 5 페이지 / 전적]

볏짚으로 삼아 만든 짚신.

초혼(招魂)[회심곡 8 페이지 / 두루마리]

사람이 죽었을 때 그 사람이 생시에 입던 저고리를 왼손에 들고 오른손은 허리에 대어 지붕이나 마당에서, 북쪽을 향하여 ‘아무개 동네 아무개 복(復)’이라고 세 번 부르는 민속상의 일.

초혼(招魂)[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36 페이지 / 전적]

「招魂」―楚辭에 大招賦가 있는데, 何人의 所作인지 未詳하나 대개 屈原을 위하여 招魂한 것임.

초혼(招魂)[일회심곡(一回心曲) 4 페이지 / 전적]

사람이 죽었을 때 그 혼을 소리쳐 부르는 일.

초혼(招魂)[제삼별회심곡(第三別囬心曲) 7 페이지 / 전적]

죽은 사람의 넋이 돌아오도록 부르는 것.

초혼(招魂)[서가여래가사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죽은 사람의 넋이 돌아오도록 부르는 일로, 장례의식의 한 순서.

초혼(招魂)[서가여래가사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죽은 사람의 넋이 돌아오도록 부르는 일로, 장례의식의 한 순서.

초혼(招魂)[천지지분이라(천디디분이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사람이 죽었을 때 그 혼을 소리쳐 불러들임.

초혼각(招魂閣)[팔도안희가 7 페이지 / 전적]

현재 동학사 숙모전(肅慕殿) 자리에 있었던 전각으로 사육신이 참수를 당하자 매월당 김시습이 시신을 거두어 노량진 언덕에 매장하고 동학사로 다시 돌와와 초혼각을 짓고 충정을 기렸다.

초혼장(招魂葬)[옥산가라 26 페이지 / 전적]

시체를 찾을 수 없어서 묘에 시체를 넣지 못하고 혼을 불러 장사를 지내는 매장법.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