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촌보(寸步)[경난가 15 페이지 / 전적]
몇 발짝 안 되는 걸음.
촌보간(寸步間)[그리져리구경하고 16 페이지 / 전적]
몇 발자국 걸음 사이.
촌심(寸心)[오륜가라 13 페이지 / 전적]
속으로 품은 작은 뜻.
촌심(寸心)[오륜가라 34 페이지 / 전적]
속으로 품은 작은 뜻.
촌심(寸心)[일회심곡(一回心曲) 10 페이지 / 전적]
말하는 이가 자기의 생각을 낮추어 이르는 말.
촌심(寸心)[오륜가라 26 페이지 / 전적]
속으로 품은 작은 뜻.
촌심(寸心)[가사소리 26 페이지 / 전적]
속으로 품은 작은 뜻.
촌외인(寸外人)[일회심곡(一回心曲) 9 페이지 / 전적]
십 촌이 넘는 먼 친척.
촌음(寸陰)[ 1 페이지 / ]
썩 짧은 시간. 또는, 얼마 안 되는 시간.
촌음(寸陰)[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84 페이지 / 전적]
썩 짧은 시간. 또는, 얼마 안 되는 시간.
촌음(寸陰)[화전가1 14 페이지 / 전적]
썩 짧은 시간.
촌음(寸陰)[화전가2 14 페이지 / 전적]
썩 짧은 시간.
촌인(村人)[옥산가라 33 페이지 / 전적]
마을 사람.
촌장(寸腸)[추월감 9 페이지 / 두루마리]
창자 마디마디. 조그마한 진심.
촌장(寸腸)[경노의심곡 12 페이지 / 두루마리]
마디마디의 창자.
촌전(村前)[운청가 13 페이지 / 두루마리]
마을 앞.
촌초(寸草)[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73 페이지 / 전적]
「寸草心」―唐 孟郊의 遊子吟에「慈母手中線 遊子身上衣 那將寸草心 報得三春暉」라 하였음。
촌초심(寸草心)[양친가(養親歌) 3 페이지 / 전적]
보잘 것 없는 마음이라는 뜻으로, 부모의 은혜에 보답하려는 자식의 마음
촌초심(寸草心)[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18 페이지 / 전적]
「寸草心」―唐 詩人 孟郊의 遊子吟에 있는 말인데 위에 나타나 있음。
촌촌(寸寸)이[청춘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한 치 한 치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