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춘색(春色)[몽별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봄철의 빛. 또는 봄철을 느끼게 하는 경치나 분위기.
춘색(春色)[화초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봄의 아름다운 빛.
춘색(春色)[옥산가라 44 페이지 / 전적]
봄철의 빛. 또는 봄철을 느끼게 하는 경치나 분위기.
춘색(春色)[벌교사(벌교) 5 페이지 / 전적]
봄빛.
춘색(春色)[허후전가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봄의 아름다운 빛.
춘생이[은삭가 4 페이지 / 전적]
추색(秋色).
춘생이[은삭가 4 페이지 / 전적]
추색(秋色).
춘생추실(春生秋實)[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34 페이지 / 전적]
봄에 씨앗을 뿌리고 가을에 거둬들인다는 것.
춘생하장(春生夏長) 추수동장(秋收冬藏)[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2 페이지 / 전적]
(만물이) 봄에 나고, 여름에는 자람. 그것이 가을이 되어 성숙하면 거두어 들이고, 겨울에는 감추어 둠. 즉 자연 순환의 법칙과 농사짓는 모습을 가리킴.
춘생하장(春生夏長) 추수동장(秋收冬藏)[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2 페이지 / 전적]
(만물이) 봄에 나고, 여름에는 자람. 그것이 가을이 되어 성숙하면 거두어 들이고, 겨울에는 감추어 둠. 즉 자연 순환의 법칙과 농사짓는 모습을 가리킴.
춘생화소(春生花笑)[심시천인설(尋時天人說) 2 페이지 / 전적]
봄에 난 꽃이 웃다.
춘설(春雪) 같이 녹아지고[권왕가 36 페이지 / 전적]
‘봄눈 녹듯’을 이르는 말. 무엇이 빨리 슬어 없어지는 모양.
춘성무처(春城無處) 불비화(不飛花)[화전가1 16 페이지 / 전적]
봄이 되면 어느 곳에서고 꽃이 피지 않는 곳이 없다.
춘성무처(春城無處) 불비화(不飛花)[화전가2 16 페이지 / 전적]
봄이 되면 어느 곳에서고 꽃이 피지 않는 곳이 없다.
춘수(春水) 만사택(滿四澤)하니[슈양가 4 페이지 / 전적]
봄에 물이 사방 못을 가득 채우니. 진(晉)나라 문인인 도잠(陶潛)의 시 「사시(四時)」의 한 구절.
춘수(春睡)[상사가라 11 페이지 / 전적]
봄철의 노곤한 졸음.
춘수(春睡)[회츈가라 2 페이지 / 전적]
봄철의 노곤한 졸음.
춘수만사택[말이타국원별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도연명의 시 <사시>의 기구. 春水滿四澤 夏雲多奇峰 秋月揚明輝 冬嶺秀孤松.
춘수절(春首節)은[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4 페이지 / 전적]
맹춘절(孟春節)은. 초봄, 음력 정월을 이르는 말.
춘신(春信)[화전가2 4 페이지 / 전적]
봄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