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5,089개

춘추(春秋)[해주졍씨목친가(주졍씨목친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나이.

춘추(春秋)[고분가 6 페이지 / 전적]

어른의 나이를 높여 이르는 말.

춘추(春秋)[고분가 6 페이지 / 전적]

어른의 나이를 높여 이르는 말.

춘추(春秋)[거창가라 11 페이지 / 전적]

어른의 나이를 높여 이르는 말.

춘추(春秋)[아림가(娥林歌) 11 페이지 / 전적]

어른의 나이를 높여 이르는 말.

춘추(春秋)[녁대가(녁가) 20 페이지 / 전적]

춘추시대(春秋時代). 주나라가 동쪽으로 도읍을 옮긴 기원전 770년부터 기원전 403년까지 약 360년간의 전란시대. 공자가 『춘추』에서 이 시대의 일을 서술해서 붙여진 이름임.

춘추(春秋)[녁대가(녁가) 30 페이지 / 전적]

유교 오경(五經)의 하나. 공자가 노나라 은공(隱公)에서 애공(哀公)에 이르는 242년(B.C.722~B.C.481) 동안의 사적(事跡)을 편년체로 기록한 책임.

춘추(春秋)[녁대가(녁가) 32 페이지 / 전적]

춘추시대(春秋時代). 주나라가 동쪽으로 도읍을 옮긴 기원전 770년부터 기원전 403년까지 약 360년간의 전란시대. 공자가 『춘추』에서 이 시대의 일을 서술해서 붙여진 이름임.

춘추春秋[ 1 페이지 / ]

나이

춘추관(春秋館)[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24 페이지 / 전적]

시정(時政)의 기록을 맡아보던 관아.

춘추관(春秋館)[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77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둔, 시정의 기록을 맡아보던 관아. 태조 때에 예문춘추관을 두었다가 태종 때에 예문, 춘추의 두 관으로 독립하였는데, 고종 때 없앴다.

춘추분(春秋分)[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 페이지 / 전적]

춘분과 추분.

춘추순(春秋巡)[아림가(娥林歌) 28 페이지 / 전적]

봄 가을로 관내를 순찰함.

춘추양등(春秋兩等)[심심가(尋心歌) 19 페이지 / 전적]

세금을 봄과 가을 두 번으로 나누어 냄.

춘추양등(春秋兩等)[심심가(尋心歌) 19 페이지 / 전적]

세금을 봄과 가을 두 번으로 나누어 냄.

춘추전국(春秋戰國)[조심가라 9 페이지 / 전적]

춘추전국시대.

춘추전국(春秋戰國)[조심가라 9 페이지 / 전적]

춘추전국시대.

춘추전국(春秋戰國)[녁대가(녁가) 21 페이지 / 전적]

춘추시대는 주왕조가 낙양으로 도읍을 옮긴 때로부터 한(韓)·위(魏)·조(趙) 삼씨가 진나라를 분할하여 제후로 독립할 때까지의 시대를 말하고(BC 403년), 전국시대는 그 이후부터 진(秦)나라가 천하를 통일한 BC 221년까지를 가리킴.

춘추전국(春秋戰國)[역대삼재가라 7 페이지 / 전적]

중국의 춘추 시대와 그다음의 전국 시대를 아울러 이르는 말.

춘추제향(春秋祭享)[가야희인곡 3 페이지 / 두루마리]

봄, 가을로 사당에서 올리는 제사.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