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5,089개

춘신(春信)[시절가 31 페이지 / 전적]

봄의 소식. 얼었던 것이 풀리고, 꽃이 피고 새가 울기 시작하는 따위의 자연 현상을 이름.

춘신군(春申君)[녁대가(녁가) 35 페이지 / 전적]

중국 전국시대 초나라의 정치가(?~B.C.238). 본명은 황헐(黃歇). 춘신군은 봉호(封號). 고열왕(考烈王) 재위 시기에 재상(宰相)으로 활약했으며, 주변 나라들과 연합하여 강국인 진(秦)의 진출을 저지하여음.

춘앵(春鶯)[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1 페이지 / 두루마리]

앵무새.

춘앵(春鶯)[추풍감곡(秋風感曲) 3 페이지 / 전적]

봄철의 휘파람새.

춘앵(春鶯)[차운 4 페이지 / 전적]

봄철에 지저귀는 휘파람새.

춘앵(春鶯)은 이귀(已歸)하고[츄풍간별곡 차(츄풍간별곡 ) 2 페이지 / 전적]

봄 꾀꼬리는 이미 돌아가고. 봄이 다 지났음을 말함.

춘야연도리원(春夜宴桃李園)[춘화추동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춘야연도리원서(春夜宴桃李園序)는 이백이 봄날 밤에 형제와 친족들과 함께 복숭아와 오얏꽃이 만발한 정원에서 연회를 열고 각자 시를 지으며 놀 적에 그 시편 앞에 그 때의 감상과 일의 차제를 편 문장이다. 서(序)는 사물의 차제(次第-경위)를 순서를 세워서 서술하는 글.

춘양(春陽)[칠여가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봄철. 계절이 봄인 때.

춘양(春陽)[거창가라 18 페이지 / 전적]

봄볕.

춘양(春陽)하니[경게가라 20 페이지 / 전적]

봄볕이 드니.

춘양(春陽)하니[경게가라 20 페이지 / 전적]

봄볕이 드니.

춘왕(春王)[허후전가라 11 페이지 / 두루마리]

봄의 왕.

춘왕정월(春王正月)[무제(▩▩▩▩) 22 페이지 / 두루마리]

『춘추(春秋)』 첫머리에 나오는 ‘은공(隱公) 원년 봄, 천자가 쓰는 역(曆)으로 정월’이라는 뜻이다.

춘왕정월(春王正月)[무제(▩▩▩▩) 22 페이지 / 두루마리]

『춘추(春秋)』 첫머리에 나오는 ‘은공(隱公) 원년 봄, 천자가 쓰는 역(曆)으로 정월’이라는 뜻이다.

춘왕정월(春王正月)[남매상별가라(남매별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춘추(春秋)』의 첫머리에 나오는 ‘은공(隱公) 원년 봄, 천자가 쓰는 역(曆)으로 정월’이라는 말을 가리킨다. 주나라 왕이 쓰는 달력으로 정월.

춘우추풍(春雨秋風)[후원초당 봄이듯이 5 페이지 / 두루마리]

봄비와 가을 바람.

춘위(春闈)[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93 페이지 / 전적]

「春闈」― 明, 淸時代의 會試가 例에 따라 三月에 擧行하므로 春闈라 稱하기도 하고 또는 春宮을 이르기도 하는데 太子宮임 陸贄의 李勉太子太師制에 「輔翼春闈 是資敎導」라 하였음.

춘일(春日)[근농가(勤農歌) 3 페이지 / 전적]

봄날.

춘일(春日)[비틀노래 2 페이지 / 두루마리]

봄철의 날.

춘일(春日)[옥산가라 58 페이지 / 전적]

봄날(봄철의 날).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