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5,089개

칙사행차(勅使行次)[거창가 24 페이지 / 전적]

중국 황제의 명령을 받아 우리나라에 들어오던 사신의 행차.

친(親)히[거상제향가(居喪祭享歌) 10 페이지 / 전적]

직접.

친가견문(親家見聞)[여자석별가 18 페이지 / 전적]

친가에서 보고 들은 것.

친가약간 구제한들[효봉구고치산가 8 페이지 / 전적]

친정집에서 약간 구제(救濟)해 준들. 원본에는 ‘친가의 악간 구제한들’로 표기되어 있다.

친가유무(親假有無)[오윤가 15 페이지 / 전적]

친하고 친하지 않고.

친가유무(親家有無)[종매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친지인지 아닌지.

친가유무(親家有無)[수연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친하고 친하지 않고.

친가유무(親家有無)[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1 페이지 / 두루마리]

친하고 친하지 않고.

친가유무(親家有無)[수연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친하고 친하지 않고.

친가유무(親家有無)[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1 페이지 / 두루마리]

친하고 친하지 않고.

친견(親見)[셔왕가 2 페이지 / 전적]

친히 보는 것.

친고(親故)[자책가(가) 9 페이지 / 전적]

친척과 오래 사귄 벗.

친고(親故)[대비훈민가 9 페이지 / 전적]

①친척(親戚)과 고구(姑舅)를 아울러 이르는 말 ②친구(親舊).

친구[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58 페이지 / 전적]

「執手友人」― 後漢書 馬援傳에 依據하면 馬援은 出征가는 그날밤에 友人 杜愔에게 이르기를 「吾受厚恩 年迫日索 常恐不得死國事 今獲所願 甘心暝目」이라 하였음.

친구들과 함부로 죽음을 기약함[삼강오륜가 서 7 페이지 / 전적]

허우이사(許友以死).

친군자(親君子) 원소인(遠小人)[초씨션원쳥음가 7 페이지 / 전적]

군자를 가까이 하며 소인을 멀리함.

친기(親忌)[아림가(娥林歌) 29 페이지 / 전적]

부모의 제사.

친기제물(親忌祭物)[거창가 25 페이지 / 전적]

부모 기제사(忌祭사(祀))에 쓰이는 제물.

친기제물(親忌祭物)[거창가 25 페이지 / 전적]

부모 기제사(忌祭사(祀))에 쓰이는 제물.

친당(親堂)[회경가 10 페이지 / 전적]

친부모, 또는 친부모가 사시는 집을 뜻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