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칠보금지(七寶錦地) 칠보(七寶)[셔왕가 6 페이지 / 전적]
소중한 칠보가 있는 귀중한 곳. ① 일곱 가지의 보배. 법화경(法華經)에서는 금 · 은 · 마노 · 유리 · 거거 · 진주 · 매괴 등 을 이름. ② 무량수경(無量壽經)에서는 금 · 은 · 유리 · 파리 · 마노 · 거거 · 산호 등을 이름. ③ 전륜성 왕(轉輪聖王)이 가지고 있는 일곱 가지의 보배. 곧, 윤보(輪寶) · 상보(象 寶 · 마보(馬寶) · 여의주보(如 意珠寶) · 장보(將寶) · 주자신보(主藏臣寶).
칠보단장(七寶丹粧)[상사별곡(상별곡) 19 페이지 / 두루마리]
여러 가지 패물로 몸을 꾸밈. 또는 그 꾸밈새.
칠보단장(七寶丹粧)[헌수가라 13 페이지 / 두루마리]
여러 가지 패물로 몸을 꾸밈. 또는 그 꾸밈새.
칠보단장(七寶丹粧)[몽별가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여러 가지 패물로 몸을 꾸밈. 또는 그 꾸밈새.
칠보단장(七寶丹粧)[상사별곡(상별곡) 19 페이지 / 두루마리]
여러 가지 패물로 몸을 꾸밈. 또는 그 꾸밈새.
칠보단장(七寶丹粧)[헌수가라 13 페이지 / 두루마리]
여러 가지 패물로 몸을 꾸밈. 또는 그 꾸밈새.
칠보단장(七寶丹粧)[몽별가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여러 가지 패물로 몸을 꾸밈. 또는 그 꾸밈새.
칠보단장(七寶丹粧)[뎡슝샹회방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여러 가지 패물로 몸을 꾸밈. 또는 그 꾸밈새.
칠보단장(七寶丹粧)[유회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여러 가지 패물로 몸을 꾸밈.
칠보단장(七寶丹粧)[이별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여러 가지 패물로 몸을 꾸미는 일. 또는 그 꾸밈새.
칠보단장(七寶丹粧)[상사곡이라 3 페이지 / 전적]
여러 가지 패물로 몸을 꾸밈. 또는 그 꾸밈새.
칠보단장(七寶丹粧)[봉별가 27 페이지 / 전적]
여러 가지 패물로 몸을 꾸밈.
칠보산(七宝山)[유소가 6 페이지 / 전적]
함경북도 명천군에 있는 산
칠보산(七寶山)[북쳔가 18 페이지 / 두루마리]
함경북도 명천군에 위치한 산.
칠보시(七步詩)[명륜가(明倫歌) 83 페이지 / 전적]
형 조비가 동생 조식을 해칠 마음으로 조식에게 일곱 걸음 걷는 동안에 짓게 한 시.
칠보시(七步詩)[춘몽가(츈몽가) 9 페이지 / 전적]
형 조비와 조창과의 후계자 권력 다툼에서 조식은 조비에게 패했는데 조비가 제위에 오르자 조식을 죽이기 위해 일곱 걸음을 걷는 동안 시를 지어 읊어보라고 함.조식이 시를 짓지 못한다면 죽일 것이라고 하자 조식은 “콩을 삶는 데는 콩깍지로 태운다(煮豆持作羹).같은 뿌리의 형제가 왜 다투지 않으면 안 되느뇨(本是同根生相煎何太急)”라고 노래한 7보의 시(七步之詩)를 지었고 이에 조비는 깊이 깨달은 바 있어 그를 살려주었다고 함.
칠보시(七步詩)[춘몽가(츈몽가) 9 페이지 / 전적]
형 조비와 조창과의 후계자 권력 다툼에서 조식은 조비에게 패했는데 조비가 제위에 오르자 조식을 죽이기 위해 일곱 걸음을 걷는 동안 시를 지어 읊어보라고 함.조식이 시를 짓지 못한다면 죽일 것이라고 하자 조식은 “콩을 삶는 데는 콩깍지로 태운다(煮豆持作羹).같은 뿌리의 형제가 왜 다투지 않으면 안 되느뇨(本是同根生相煎何太急)”라고 노래한 7보의 시(七步之詩)를 지었고 이에 조비는 깊이 깨달은 바 있어 그를 살려주었다고 함.
칠보지(七寶池) 칠보(七寶)[자책가(가) 12 페이지 / 전적]
칠보, 즉 일곱 가지의 보배로 장식된 연못. ① 일곱 가지의 보배. 법화경(法華經)에서는 금 · 은 · 마노 · 유리 · 거거 · 진주 · 매괴 등을 이름. ② 무량수경(無量壽經)에서는 금 · 은 · 유리 · 파리 · 마노 · 거거 · 산호 등을 이름. ③ 전륜성왕(轉輪聖王)이 가지고 있는 일곱 가지의 보배. 곧, 윤보(輪寶) · 상보(象寶 · 마 보(馬寶) · 여의주보(如意珠寶) · 장보(將寶) · 주자신보(主藏臣寶).
칠보지(七寶池) 향수간(香樹間)[자책가(가) 14 페이지 / 전적]
칠보지(七寶池)의 방향이 있는 나무 사이. 앞에 든 칠보지(七寶 池)와 향수(香樹)에 대한 각주 참조.
칠불[팔역가(八域歌) 11 페이지 / 전적]
7 부처님의 현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