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5,089개

친척정화(親戚情話)[냥신낙사가(냥신낙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친척들끼리 정답게 이야기를 나눔. 진(晉)나라 문인인 도잠(陶潛)이 지은 「귀거래사(歸去來辭)」의 한 구절인 ‘열친척지정화(悅親戚之情話)’에서 온 말임.

친척정화(親戚情話)[냥신낙사가(냥신낙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친척들끼리 정답게 이야기를 나눔. 진(晉)나라 문인인 도잠(陶潛)이 지은 「귀거래사(歸去來辭)」의 한 구절인 ‘열친척지정화(悅親戚之情話)’에서 온 말임.

친척정화(親戚情話)[형제이회가(형이회가) 6 페이지 / 전적]

친척간의 정다운 이야기.

친척정화(親戚情話)[형제이회가(형이회가) 6 페이지 / 전적]

친척간의 정다운 이야기.

친치마소[후원초당 봄이듯이 10 페이지 / 두루마리]

친하지 마소.

친친위대(親親爲大)[낙지가 7 페이지 / 전적]

가까운 사람을 친하게 여겨야 하는 것이 중요함.

친한[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55 페이지 / 전적]

「傾蓋」― 한번 만나 바로 친해졌다는 뜻임. 孔叢子에 「孔子가程子와 서로 길에서 만나 일산을 기우리고 이야기했다」라 하였음.

친현(親賢)[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40 페이지 / 전적]

「親賢樂利」-大學 釋止於至善章에「君子賢其賢而親其親 小人樂其樂而利其利」라는 대문이 있음.

친환(親患)[용문가라 21 페이지 / 전적]

어버이의 병.

칠거(七去)[거취가(去取歌) 5 페이지 / 전적]

여자가 버림받을 일곱 가지 조건.시부모에게 순종하지 않는 것, 아들을 못 낳는 것, 음란한 것, 투기(妬忌)하는 것, 나쁜 병이 있는 것, 말이 많은 것, 남의 물건을 훔치는 것 등임.

칠거악(七去惡)[종매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칠거지악. 아내를 내쫓을 수 있는 일곱 가지 조건.

칠거악(七去惡)[만수가(만슈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아내를 내쫓을 수 있는 이유가 되었던 일곱 가지 허물. 시부모에게 불손함, 자식이 없음, 행실이 음탕함, 투기함, 몹쓸 병을 지님, 말이 지나치게 많음, 도둑질을 함 등.

칠거악(七去惡)[만수가(만슈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아내를 내쫓을 수 있는 이유가 되었던 일곱 가지 허물. 시부모에게 불손함, 자식이 없음, 행실이 음탕함, 투기함, 몹쓸 병을 지님, 말이 지나치게 많음, 도둑질을 함 등.

칠거지악(七去之惡)[흥남세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아내를 내쫓을 수 있는 일곱 가지 악행의 조건, 시부모에 순종하지 않는 것[부순구고(不順舅姑)], 자식을 못 낳는 것[무자(無子)], 행실이 음탕한 것[음행(淫行)], 질투하는 것[질투(嫉妬)], 나쁜 병이 있는 것[악질(惡疾)], 말썽이 많은 것[구설(口舌)], 도둑질하는 것[도절(盜竊)].

칠거지악(七去之惡)[숙덕부인도덕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아내를 내쫓는 일곱 가지 사유. 곧 불순구고(不順舅姑), 무자(無子), 음행(淫行), 질투(嫉妬), 악질(惡疾), 구설(口舌), 도절(盜竊).

칠거지악(七去之惡)[명륜가(明倫歌) 55 페이지 / 전적]

아내를 내쫓을 수 있는 일곱 가지 허물. 곧 시부모에게 불손함, 자식이 없음, 행실이 음탕함, 투기(妬忌)함, 몹쓸 병을 지님, 말이 지나치게 많음, 도둑질을 함.

칠거지악(七去之惡)[오륜가라 23 페이지 / 전적]

남편이 아내를 내쫓을 수 있는 7가지 요건. <대대례기(大戴禮記)> 본명(本命)에 나온다. 칠출지악(七出之惡)이라고도 하는데, 삼종지도(三從之道)와 함께 전통사회의 여성들에게 가장 경계해야 할 것으로 인식되던 조목이다. ① 시부모에게 순종하지 않는 것(不順舅姑), ② 자식을 낳지 못하는 것(無子), ③ 음탕한 것(淫行), ④ 질투하는 것(嫉妬), ⑤ 나쁜 질병이 있는 것(惡疾), ⑥ 수다스러운 것(口舌), ⑦ 도둑질하는 것(盜竊) 등이 그 내용을 이루

칠거지악(七去之惡)[회경가 14 페이지 / 전적]

아내를 내쫓을 수 있는 이유가 되었던 일곱 가지 허물. 시부모에게 불손함, 자식이 없음, 행실이 음탕함, 투기함, 몹쓸 병을 지님, 말이 지나치게 많음, 도둑질을 함 따위임

칠거지악(七去之惡)[여자행신가 18 페이지 / 전적]

예전에, 아내를 내쫓을 수 있는 이유가 되었던 일곱 가지 허물. 시부모에게 불손함, 자식이 없음, 행실이 음탕함, 투기함, 몹쓸 병을 지님, 말이 지나치게 많음, 도둑질을 함 따위임.

칠거지악(七去之惡)[나부가 2 페이지 / 전적]

예전에, 아내를 내쫓을 수 있는 이유가 되었던 일곱 가지 허물. 시부모에게 불손함, 자식이 없음, 행실이 음탕함, 투기함, 몹쓸 병을 지님, 말이 지나치게 많음, 도둑질을 함 따위이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