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친당(親堂)[고분가 19 페이지 / 전적]
친 부모.
친당(親堂)[고분가 19 페이지 / 전적]
친 부모.
친람(親覽)[벽천가 67 페이지 / 전적]
임금이 몸소 관람함.
친량(親糧)[효자가 4 페이지 / 전적]
어버이를 모시는 식량
친면(親面)[한별곡 13 페이지 / 전적]
친한 사람.
친명(親命)[자직가(子職歌) 6 페이지 / 전적]
부모님의 명령.
친명(親命)[경명가(敬命歌) 2 페이지 / 전적]
부모님의 명령.
친문(親問)[리행소챙가 76 페이지 / 전적]
몸소 안부를 물음.
친부모에서[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29 페이지 / 전적]
친부모보다.
친부재(親不在)[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부모는 계시지 않는다.
친부재(親不在)[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부모는 계시지 않는다.
친비린인졍[셕별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친비린인정(親比隣人情). 친척과 이웃들의 인정.
친상(親喪)[통륜가(通倫歌) 5 페이지 / 전적]
부모(父母)의 상사.
친상사장지의(親上死長之義)[백세보중(百世葆重 二-一)2-1 7 페이지 / 전적]
『맹자(孟子)』양혜왕장구(梁惠王章句) 하(下) 12에 나오는 글. 추(芻)나라의 목왕(穆王)이 맹자에게 추(芻)와 노(魯)나라 사이에 전쟁이 났을 때 추나라의 고관(高官)이 33명이나 죽었으나 백성들은 아무 하나 목숨을 바치려고 나서지 않았다. 이를 어떻게 할 것인가?하고 물으니 맹자는 주군(主君)께서 인정을 베풀면 백성들이 윗사람에게 친근하게 굴고 윗사람을 위해 죽게 될 것입니다(「君行仁政 斯民親其上 死其長矣」)라고 하였다.
친상사장지의(親上死長之義)[백세보중(百世葆重 二-一)2-1 10 페이지 / 전적]
『맹자(孟子)』양혜왕장구(梁惠王章句) 하(下) 12에 나오는 글. 추(芻)나라의 목왕(穆王)이 맹자에게 추(芻)와 노(魯)나라 사이에 전쟁이 났을 때 추나라의 고관(高官)이 33명이나 죽었으나 백성들은 아무 하나 목숨을 바치려고 나서지 않았다. 이를 어떻게 할 것인가?하고 물으니 맹자는 주군(主君)께서 인정을 베풀면 백성들이 윗사람에게 친근하게 굴고 윗사람을 위해 죽게 될 것입니다(「君行仁政 斯民親其上 死其長矣」)라고 하였다
친소(親疎)[권농가(권롱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친함과 친하지 아니하다.
친소(親疎)[권농가(권롱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친함과 친하지 아니하다.
친소(親疎)[헌수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멀고 가까움.
친소간(親疎間)[ 1 페이지 / ]
친하든지 친하지 않든지 관계할 바가 없는 사이.
친소간(親疎間)[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99 페이지 / 전적]
친하든지 친하지 않든지 관계할 바가 없는 사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