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5,089개

칠년대한(七年大旱)가뭄 중에 빗발 만나[사친가2(思親歌(二)) 14 페이지 / 전적]

오랫동안 애타게 기다리던 것이 이루어진다는 뜻. 칠년대한(七年大旱) : 칠 년 동안이나 계속되던 큰 가뭄. 중국 은(殷)나라 탕왕(湯王) 때에 계속되었던 ‘칠년한(七年旱)’으로 연유한 말임.

칠년에도[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31 페이지 / 전적]

「七年艾」- 孟子 離婁篇에「今之欲王者 猶七年之病 求三年之艾也 苟爲不畜 終身不得」이라 하였음.

칠년을 대한(大旱)하니[녁대가(녁가) 15 페이지 / 전적]

은나라 탕왕 때에 있었던 칠 년 동안이나 내리 계속된 큰 가뭄.

칠리동강(桐江七里)[남여동락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엄자릉이 말년에 낚시를 즐기며 살았던 곳.

칠리동강(桐江七里)[남여동락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엄자릉이 말년에 낚시를 즐기며 살았던 곳.

칠리탄(七里灘)[조심가라 26 페이지 / 전적]

한나라 때의 은사(隱士)인 엄자릉이 낚시질하던 여울. 후한을 세운 광무제와는 어렸을 때에 함께 공부한 사이였지만, 뒤에 무제가 임금의 자리에 올라 하사한 벼슬을 마다하고, 남은 생애를 부춘산(富春山) 동강칠리탄(桐江七里灘)에서 낚시질하며 숨어살았음.

칠리탄(七里灘)[조심가라 26 페이지 / 전적]

한나라 때의 은사(隱士)인 엄자릉이 낚시질하던 여울. 후한을 세운 광무제와는 어렸을 때에 함께 공부한 사이였지만, 뒤에 무제가 임금의 자리에 올라 하사한 벼슬을 마다하고, 남은 생애를 부춘산(富春山) 동강칠리탄(桐江七里灘)에서 낚시질하며 숨어살았음.

칠리탄(七里灘)[죽엽가(쥭엽가) 7 페이지 / 전적]

한나라 때의 은사(隱士)인 엄자릉이 낚시질하던 여울.

칠만(七巒)[ 1 페이지 / ]

칠곡과 같은 말이다. 어느 곳이 일곡이며 또 전체는 몇 곡(골짜기)까지 있었는지 정확히 밝힐 수 없다. 다만 기대승이 쓴 [면앙정기]를 보면 ‘정자의 동쪽에 제월봉이 꿈틀꿈틀 뻗어 내려오고 서쪽으로는 큰 들이 열려 있다. 이 삼십리 사이에 여섯 골짜기가 보이고 동서남북 수백 리의 거리에 높다란 산이 겹겹이 쌓여 있다‘라는 기록과 같은 곳의 ‘서석산에서 발원된 물줄기는 정자 왼쪽에 제삼곡으로 흐르는데‘의 기록, 임제의[면앙정부]에 ‘용이 서린듯한 일곱 굽이며, 하늘과 구석진 곳일세‘등을 볼때 여기서 말하는 일곱 봉우리는 제일곡에서 제칠곡에 해당될 것 같은데 어느 특정 지역을 두고 그러헤게 불렀느지 밝히기 힘들다.

칠묘[백세보중(百世葆重 三)3 59 페이지 / 전적]

주나라 때 천자의 종묘 곧 태조와 3소, 3목을 말함. 여기서는 종묘사직을 칭함.

칠백동정(七百洞庭)[낙지가 3 페이지 / 전적]

칠백 리에 이르는 동정호.

칠백평호(七百平湖)[상사금실가 3 페이지 / 전적]

동정호(洞庭湖).

칠백평호(七百平湖)[상사금실가 3 페이지 / 전적]

동정호(洞庭湖).

칠보 구족(七寶具足)[권왕가 3 페이지 / 전적]

칠보를 빠짐없이 고루 갖추는 것. 칠보(七寶) : 앞에 든 각주 6 참조.

칠보 궁전(七寶宮殿)[권왕가 8 페이지 / 전적]

칠보(七寶)로 장식된 화려한 궁전. 칠보(七寶) : 앞에 든 각주 71 참조.

칠보(七寶)[권왕가 6 페이지 / 전적]

앞에 든 각주 6과 38 참조.

칠보(七寶)[일회심곡(一回心曲) 10 페이지 / 전적]

일곱 가지 주요 보배. 무량수경에서는 금·은·유리·파리·마노·거거·산호를 이르며, 법화경에서는 금·은·마노·유리·거거·진주·매괴를 말함.

칠보(七寶)로 생긴 못[권왕가 7 페이지 / 전적]

칠보지(七寶池)를 두고 이름. 칠보지(七寶池) : 칠보, 즉 일곱 가지의 보배로 장식된 연못. 칠보(七寶) : ① 일곱 가지의 보배. 법화경(法華經)에서는 금 ․ 은 ․ 마노 ․ 유리 ․ 거거 ․ 진주 ․ 매괴 등을 이름. ② 무량수경(無量壽經)에서는 금 ․ 은 ․ 유리 ․ 파리 ․ 마노 ․ 거 거 ․ 산호 등을 이름. ③ 전륜성왕(轉輪聖王)이 가지고 있는 일곱 가지의 보배. 곧, 윤보 (輪寶) ․ 상보(象寶) ․ 마보(馬寶) ․ 여의주보(如意珠寶)

칠보궁전(七寶宮殿)[권왕가 3 페이지 / 전적]

칠보로 장식된 으리으리한 궁전. 칠보(七寶) : ① 일곱 가지의 보배. 법화경(法華經)에서는 금 ․ 은 ․ 마노 ․ 유리 ․ 거거 ․ 진 주 ․ 매괴 등을 이름. ② 무량수경(無量壽經)에서는 금 ․ 은 ․ 유리 ․ 파리 ․ 마노 ․ 거거 ․ 산 호 등을 이름. ③ 전륜성왕(轉輪聖王)이 가지고 있는 일곱 가지의 보배. 곧, 윤보(輪寶) ․ 상 보(象寶 ․ 마보(馬寶) ․ 여의주보(如意珠寶) ․ 장보(將寶) ․ 주장신보(主藏臣寶).

칠보궁전(七寶宮殿) 칠보(七寶)[자책가(가) 20 페이지 / 전적]

칠보로 장식된 궁전. 위에 든 각주 113 참조.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