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5,089개

칠거지악(七去之惡)[조선국짐대비훈민가라(조션국짐비훈민가라) 7 페이지 / 전적]

지난날 유교(儒敎) 도덕(道德)에서, 아내를 내쫓을 수 있는 일곱 가지의 조건(條件)을 이르는 말. 곧 부모(父母)에게 불순함(不順舅姑), 자식(子息)이 없음(無子), 음행(淫行), 투기(妬忌), 나쁜 병(惡病), 말썽이 많음(=口舌), 도둑질(盜竊)을 이름.

칠거지악(七去之惡)[여자행신가 18 페이지 / 전적]

예전에, 아내를 내쫓을 수 있는 이유가 되었던 일곱 가지 허물. 시부모에게 불손함, 자식이 없음, 행실이 음탕함, 투기함, 몹쓸 병을 지님, 말이 지나치게 많음, 도둑질을 함 따위임.

칠거지악(七去之惡)[나부가 2 페이지 / 전적]

예전에, 아내를 내쫓을 수 있는 이유가 되었던 일곱 가지 허물. 시부모에게 불손함, 자식이 없음, 행실이 음탕함, 투기함, 몹쓸 병을 지님, 말이 지나치게 많음, 도둑질을 함 따위이다.

칠거지악(七去之惡)[조선국짐대비훈민가라(조션국짐비훈민가라) 7 페이지 / 전적]

지난날 유교(儒敎) 도덕(道德)에서, 아내를 내쫓을 수 있는 일곱 가지의 조건(條件)을 이르는 말. 곧 부모(父母)에게 불순함(不順舅姑), 자식(子息)이 없음(無子), 음행(淫行), 투기(妬忌), 나쁜 병(惡病), 말썽이 많음(=口舌), 도둑질(盜竊)을 이름.

칠거지악(七去之惡)[말이타국원별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 시대, 아내를 내쫓을 수 있는 이유가 되는 일곱 가지의 허물. 곧 시부모에게 순종하지 아니하는 것(不順舅姑), 자식을 낳지 못하는 것(無子), 행실이 음탕한 것(淫), 질투하는 것(妬), 나쁜 병이 있는 것(惡症), 말이 많은 것(多言), 도둑질을 하는 것(盜) 등을 이름.

칠거지악(七去之惡)[붕우들아춘회굑 5 페이지 / 두루마리]

아내를 내쫓는 이유의 일곱 가지 허물. 곧 시부모에게 불순한 것, 아이를 낳지 못하는 것, 행실이 음탕한 것, 질투하는 것, 나쁜 병이 있는 것, 말이 많은 것, 도둑질하는 것.

칠거지악(七去之惡)[춘화추동가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예전 아내를 내쫓던 7가지 이유(七出)를 말합니다.① 불순구고(不順舅姑) - 시아버지(舅)와 시어머니(姑)에게 순종하지 않음. ② 무자(無子) : 자식(아들)이 없음. ③ 음행(淫行) : 음란한 행동. ④ 질투(嫉妬) : 남을 시기함. ⑤ 악질(惡疾) : 극심한 병이 있음 ⑥ 구설(口舌) : 말이 많음. ⑦ 도절(盜竊) : 도둑질함.

칠거지악(七去之惡)[여행록이라(여녹이라) 3 페이지 / 전적]

지난날 유교(儒敎) 도덕(道德)에서, 아내를 내쫓을 수 있는 일곱 가지의 조건(條件)을 이르는 말.곧 부모(父母)에게 불순함(不順舅姑), 자식(子息)이 없음(無子), 음행(淫行), 투기(妬忌), 나쁜 병(惡病), 말썽이 많음(口舌), 도둑질(盜竊)을 이름.

칠거지악(七去之惡)[벽천가 18 페이지 / 전적]

아내를 내쫓을 수 있는 이유가 되었던 일곱 가지 허물. 시부모에게 불손함, 자식이 없음, 행실이 음탕함, 투기함, 몹쓸 병을 지님, 말이 지나치게 많음, 도둑질을 함.

칠거지악(七去之惡)[용문가라 6 페이지 / 전적]

아내를 내쫓을 수 있는 이유가 되었던 일곱 가지 허물. 시부모에게 불손함, 자식이 없음, 행실이 음탕함, 투기함, 몹쓸 병을 지님, 말이 지나치게 많음, 도둑질 등을 말함.

칠거지악(七去之惡)[김씨효행가 39 페이지 / 두루마리]

예전에, 아내를 내쫓을 수 있는 이유가 되었던 일곱 가지 허물. 시부모에게 불손함, 자식이 없음, 행실이 음탕함, 투기함, 몹쓸 병을 지님, 말이 지나치게 많음, 도둑질을 함 따위이다.

칠거지악(七去之惡)[오륜가라 17 페이지 / 전적]

예전에, 아내를 내쫓을 수 있는 이유가 되었던 일곱 가지 허물. 시부모에게 불손함, 자식이 없음, 행실이 음탕함, 투기함, 몹쓸 병을 지님, 말이 지나치게 많음, 도둑질을 함 따위이다.

칠거지악(七去之惡)[가사소리 17 페이지 / 전적]

예전에, 아내를 내쫓을 수 있는 이유가 되었던 일곱 가지 허물. 시부모에게 불손함, 자식이 없음, 행실이 음탕함, 투기함, 몹쓸 병을 지님, 말이 지나치게 많음, 도둑질을 함 따위이다.

칠거지엑 읏듬니라[효봉구고치산가 16 페이지 / 전적]

칠거지액(七去之厄)이 으뜸이라.

칠거지죄[김대비훈민가(김비훈민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칠거지악(七去之惡)의 다른 말. 지난날 유교(儒敎) 도덕(道德)에서, 아내를 내쫓을 수 있는 일곱 가지의 조건(條件)을 이르는 말. 곧 부모(父母)에게 불순함(不順舅姑), 자식(子息)이 없음(無子), 음행(淫行), 투기(妬忌), 나쁜 병(惡病), 말썽이 많음(口舌), 도둑질(盜竊)을 이름.

칠거지죄(七去之罪)[오륜도덕가(五倫道德歌) 10 페이지 / 전적]

여자를 내쫓는 일곱 가지 죄. 곧 불순구고(不順舅姑), 무자(無子), 음행(淫行), 질투, 악질(惡疾), 구설(口舌), 도절(盜竊)의 죄

칠거지죄(七去之罪)[오윤가 22 페이지 / 전적]

칠거지악(七去之惡)과 같은 뜻으로, 아내를 내쫓을 수 있는 이유가 되었던 일곱 가지 허물을 말함. 시부모에게 불손함, 자식이 없음, 행실이 음탕함, 투기함, 몹쓸 병을 지님, 말이 지나치게 많음, 도둑질을 함 등이다.

칠거지죄(七去之罪)[거취가(去取歌) 5 페이지 / 전적]

칠거지악(七去之惡), 칠거(七去)와 같은 말.

칠계(柒溪)[ 1 페이지 / ]

칠계 김언거金彦琚가 지은 풍영정諷詠亭이 있는 곳의 냇물.칠강. 칠수. 풍영정은 광주시 창신동 극락방변에 세워져 있다.

칠국(七國)[녁대가(녁가) 32 페이지 / 전적]

중국 전국시대에 할거하던 일곱 강국. 진(秦), 초(楚), 연(燕), 제(齊), 조(趙), 위(魏), 한(韓)을 이름. 전국칠웅(戰國七雄)이라고도 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