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039개

하도낙서(河圖洛書)[경화가(警和歌) 4 페이지 / 전적]

하도(河圖)와 낙서(洛書). 하도(河圖)는 복희씨 때에 황하에서 길이 여덟 척이 넘는 용마(龍馬)가 등에 지고 나왔다는 그림으로서, 『주역(周易)』팔괘(八卦)의 근본이 되는 것이고, 낙서(洛書)는 하나라 우왕의 구년 치수(治水) 때에 낙수(洛水)에서 나온 신귀(神龜)의 등에 있었다는 글로서 『서경(書經)』홍범구주(洪範九疇)의 근원이 됨.

하도낙서(河圖洛書)[해몽가라(몽가라) 8 페이지 / 전적]

중국 고대 복희씨 대의 용마하도(龍馬河圖)와 하(夏)나라 우왕(禹王) 대의 구미낙서(龜尾洛書)를 같이 지칭한 말.

하도낙서(河圖洛書)[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하도와 낙서를 아울러 이르는 말. 하도는 중국 복희씨(伏羲氏)가 황하(黃河)강에서 용마(龍馬)가 지고 나왔다는 쉰다섯 점으로 된 그림. 동서남북 중앙으로 일정한 수로 나뉘어 배열되어 있으며, 낙서(洛書)와 함께 주역(周易)의 기본 이치가 되었다. 낙서는 중국 하나라의 우왕(禹王)이 홍수를 다스릴 때에, 낙수(洛水) 강에서 나온 거북의 등에 씌어 있었다는 마흔다섯 개의 점으로 된 아홉 개의 무늬. 팔괘와 홍범구주가 여기에서 비롯한 것이라고 한다.

하도낙서(河圖洛書)[정기안심가(定基安心歌) 9 페이지 / 전적]

하도(河圖)는 복의씨(伏義氏)가 하수(河水)에서 나온 용마(龍馬)의 등에 그려진 그림을 보고 만든 팔궤(八卦)를 말하며, 낙서(洛書)는 우왕(禹王)의 낙수(洛水)에서 나온 그림을 보고 홍범(洪範)을 그린 것을 말함.

하도낙서(河圖洛書)[길경가라 6 페이지 / 전적]

중국 상고시대에 나타났다는 신물(神物).'하도'는 복희씨(伏羲氏) 때 황허 강[黃河]에서 나온 용마(龍馬)의 등에 그려져 있었다는 그림이고, '낙서'는 우(禹) 임금이 홍수를 다스릴 때 낙수(洛水)에서 나온 신귀(神龜)의 등에 쓰여져 있었다는 글이다.복희는 하도에 의해 팔괘(八卦)를 그렸고, 우는 낙서에 의해 홍범구주(洪範九疇)를 지었다고 전해진다.각각 별개로 취급되던 하도와 낙서가 병기된 것은 〈사기 史記〉 공자세가(孔子世家)와 〈회남자 淮南子〉 숙진

하도낙서(河圖洛書)[길경가라 6 페이지 / 전적]

중국 상고시대에 나타났다는 신물(神物).'하도'는 복희씨(伏羲氏) 때 황허 강[黃河]에서 나온 용마(龍馬)의 등에 그려져 있었다는 그림이고, '낙서'는 우(禹) 임금이 홍수를 다스릴 때 낙수(洛水)에서 나온 신귀(神龜)의 등에 쓰여져 있었다는 글이다.복희는 하도에 의해 팔괘(八卦)를 그렸고, 우는 낙서에 의해 홍범구주(洪範九疇)를 지었다고 전해진다.각각 별개로 취급되던 하도와 낙서가 병기된 것은 〈사기 史記〉 공자세가(孔子世家)와 〈회남자 淮南子〉 숙진

하도낙서(河圖洛書)[길경가라 6 페이지 / 전적]

중국 상고시대에 나타났다는 신물(神物).'하도'는 복희씨(伏羲氏) 때 황허 강[黃河]에서 나온 용마(龍馬)의 등에 그려져 있었다는 그림이고, '낙서'는 우(禹) 임금이 홍수를 다스릴 때 낙수(洛水)에서 나온 신귀(神龜)의 등에 쓰여져 있었다는 글이다.복희는 하도에 의해 팔괘(八卦)를 그렸고, 우는 낙서에 의해 홍범구주(洪範九疇)를 지었다고 전해진다.각각 별개로 취급되던 하도와 낙서가 병기된 것은 〈사기 史記〉 공자세가(孔子世家)와 〈회남자 淮南子〉 숙진

하도낙서(河圖洛書)[길경가라 6 페이지 / 전적]

중국 상고시대에 나타났다는 신물(神物).'하도'는 복희씨(伏羲氏) 때 황허 강[黃河]에서 나온 용마(龍馬)의 등에 그려져 있었다는 그림이고, '낙서'는 우(禹) 임금이 홍수를 다스릴 때 낙수(洛水)에서 나온 신귀(神龜)의 등에 쓰여져 있었다는 글이다.복희는 하도에 의해 팔괘(八卦)를 그렸고, 우는 낙서에 의해 홍범구주(洪範九疇)를 지었다고 전해진다.각각 별개로 취급되던 하도와 낙서가 병기된 것은 〈사기 史記〉 공자세가(孔子世家)와 〈회남자 淮南子〉 숙진

하도낙서(河圖洛書)[승션가라 2 페이지 / 전적]

중국 상고시대에 나타났다는 신물(神物).'하도'는 복희씨(伏羲氏) 때 황허 강[黃河]에서 나온 용마(龍馬)의 등에 그려져 있었다는 그림이고, '낙서'는 우(禹) 임금이 홍수를 다스릴 때 낙수(洛水)에서 나온 신귀(神龜)의 등에 쓰여져 있었다는 글이다.복희는 하도에 의해 팔괘(八卦)를 그렸고, 우는 낙서에 의해 홍범구주(洪範九疇)를 지었다고 전해진다.각각 별개로 취급되던 하도와 낙서가 병기된 것은 〈사기 史記〉 공자세가(孔子世家)와 〈회남자 淮南子〉 숙진훈(俶眞訓)이며, 거기에는 하도낙서가 태평치세에 나타나는 상서(祥瑞)로 설명된다.그후 송대에 이르러 소옹(邵雍)은 그의 상수학에 의해 하도와 낙서의 도형화(圖形化)를 시도했다.그에 의하면 하도는 기수(奇數)를 양점(陽點)으로, 우수(偶數)를 음점(陰點)으로 해서 1~10의 모두 55점을 사방과 중앙에 배치한 도상(圖象)이다.즉 북방에는 1점과 6점, 남방에는 2점과 7점, 동방에는 3점과 8점, 서방에는 4점과 9점, 그리고 중앙에 5점과 10점을 이중으로 배치했다.이가운데 1~5를 생수(生數)라고 했으며, 6~10을 성수(成數)라고 했다.낙서는 기수인 1점을 남방에, 3점을 동방에, 5점을 중앙에, 7점을 서방에, 9점을 북방에 배치하고, 우수인 2점은 서북방에, 4점은 동북방에, 6점은 서남방에, 8점은 동남방에 배치했다.조선 초기의 성리학자인 권근(權近)은 그가 지은 〈입학도설 入學圖說〉의 하도오행상생지도(河圖五行相生之圖)와 낙서오행상극지도(洛書五行相剋之圖)에서 소옹이 그린 하도와 낙서는 각각 오행의 상생과 오행의 상극을 도상화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도낙서(河圖洛書)[청춘사연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하도와 낙서를 아울러 이르는 말.

하도낙서(河圖洛書)[영산초장이라 3 페이지 / 전적]

하도는 복희씨(伏犧氏) 때 황하(黃河)에서 나온 용마(龍馬)의 등에 나타났다는 그림이고, 낙서는 우왕(禹王) 때 낙수(洛水)에서 나온 신구(神龜)의 등에 있었다는 글.

하도낙서(河圖洛書)[도덕가라 1 페이지 / 전적]

하도는 복희씨(伏犧氏) 때 황하(黃河)에서 나온 용마(龍馬)의 등에 나타났다는 그림이고, 낙서는 우왕(禹王) 때 낙수(洛水)에서 나온 신구(神龜)의 등에 있었다는 글.

하도락서((河圖洛書)[막소가(莫笑歌) 11 페이지 / 전적]

하도와 낙서를 아울러 이르는 말로 하도는 복희 때 황하에서 용마가 나왔을 때 등에 그려진 무늬라고 하고, 낙서는 우왕이 홍수를 다스릴 때 낙수(落水)에서 나온 신귀(神鬼)의 등에 그려진 무늬이다.복희는 하도에 의하여 팔괘를 그리고 우왕은 낙서에 의하여 홍범주구를 지었다고 한다.

하도락서(河圖洛書)[육자박이 10 페이지 / 전적]

고대 중국에서 예언(豫言)이나 수리(數理)의 기본이 된 책.《하도(河圖)》는 복희(伏羲)가 황하(黃河)에서 얻은 그림으로, 이것에 의해 복희는 《역(易)》의 팔괘(八卦)를 만들었다고 하며, 《낙서(洛書)》는 하우(夏禹)가 낙수(洛水)에서 얻은 글로, 이것에 의해 우(禹)는 천하를 다스리는 대법(大法)으로서의 《홍범구주(洪範九疇)》를 만들었다고 한다.<위서(緯書)>에 있는 《하도낙서》는 칠경(七經)의 <위서>와 함께 전한(前漢) 말에서 후한(後漢)에 걸쳐

하도락서(河圖洛書)[육자박이 10 페이지 / 전적]

고대 중국에서 예언(豫言)이나 수리(數理)의 기본이 된 책.《하도(河圖)》는 복희(伏羲)가 황하(黃河)에서 얻은 그림으로, 이것에 의해 복희는 《역(易)》의 팔괘(八卦)를 만들었다고 하며, 《낙서(洛書)》는 하우(夏禹)가 낙수(洛水)에서 얻은 글로, 이것에 의해 우(禹)는 천하를 다스리는 대법(大法)으로서의 《홍범구주(洪範九疇)》를 만들었다고 한다.<위서(緯書)>에 있는 《하도낙서》는 칠경(七經)의 <위서>와 함께 전한(前漢) 말에서 후한(後漢)에 걸쳐

하도성신(河圖星辰)[막소가(莫笑歌) 17 페이지 / 전적]

하도는 복희 때 황하에서 용마가 나왔을 때 등에 그려진 무늬를 뜻하며 성신은 별을 이른다.

하도성신(河圖星辰)[구궁환정구구가(九宮還定九九歌) 2 페이지 / 전적]

하도는 복희 때 황하에서 용마가 나왔을 때 등에 그려진 무늬를 뜻하며 성신은 별을 이른다.

하도열수(河圖列數)[신정도덕가 2 페이지 / 전적]

하도용마(河圖龍馬)[송구영신가권지일(送舊迎新歌卷之一) 5 페이지 / 전적]

복희씨 때, 龍馬가 등에 짊어지고 올라온 그림으로서 이것이 선천괘(先天卦)이다.

하도이치(河圖理致)[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2 페이지 / 전적]

중국 고대 복희씨(伏羲氏) 때, 황하(黃河) 강에서 나온 용마(龍馬)의 등에 그려졌던 ‘하도(河圖)’에 담긴 이치를 가리킴.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