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하루에 세 번 반성[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46 페이지 / 전적]
일일삼성(一日三省)을 이름.
하륙(下陸)[안심가 11 페이지 / 전적]
육지에 내림.
하륜(河崙)[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74 페이지 / 전적]
고려 말기, 조선 초기의 문신(1347~1416)으로 자는 대림(大臨), 호는 호정(浩亭)이다. 제일차 왕자의 난 때 이방원을 도와 공을 세우고 정당문학에 올랐으며,
하마[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48 페이지 / 전적]
「虎溪」―廬山 東林寺앞에 있음. 慧遠法師가 東林寺에 살면서客을 전송하되 虎溪를 지나가지 않았다. 이를 지나가면 범이문득 으르렁댔다. 一日은 陶潜과 道士 陸修靜을 전송하면서二人이 함께 이야기하다가 不知中에 虎溪를 넘어서니 범이 울었다. 그래서 三人은 大笑하고서 작별했는데 後人이 三笑亭을세웠다. 廬山記에 보임. 李白의 詩에「笑別廬山遠 何須過虎溪」의 句가 있음.
하마(下馬)하니[냥신낙사가(냥신낙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말에서 내리니.
하마(下馬)하니[냥신낙사가(냥신낙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말에서 내리니.
하마(河馬)[궁장가(宮牆歌) 4 페이지 / 전적]
하도(河圖). 옛날 중국(中國) 복희씨 때에 황하(黃河)에서 용마가 지고 나왔다는 쉰 다섯 점의 그림. 우 임금 때의 낙서와 함께 주역(周易) 이치(理致)의 기본(基本)이 되었음.
하마(河馬)[궁장가(宮牆歌) 4 페이지 / 전적]
하도(河圖). 옛날 중국(中國) 복희씨 때에 황하(黃河)에서 용마가 지고 나왔다는 쉰 다섯 점의 그림. 우 임금 때의 낙서와 함께 주역(周易) 이치(理致)의 기본(基本)이 되었음.
하명(何鳴)[구쟉가 14 페이지 / 전적]
어이하여 우는가.
하명동(霞明洞)[환행가 16 페이지 / 두루마리]
지금의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 하계마을.
하명동(霞明洞)[환행가 16 페이지 / 두루마리]
지금의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 하계마을.
하문(下問)[타미계라(라미키라) 6 페이지 / 전적]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물음. 또는 윗사람의 물음.
하문(下問)[타미계라(라미키라) 6 페이지 / 전적]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물음. 또는 윗사람의 물음.
하물(荷物)[제주여행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수하물(手荷物).여객(旅客)이 차를 탈 때, 들고 다닐 수 있을 정도의 간단한 짐.여행하는 사람이 들고 가는 짐.손짐.들짐.
하물며[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87 페이지 / 전적]
「多欲」- 史記 汲黯傳에 『黯은 말하기를 「陛下內多欲 而外施仁義 奈何欲效唐虞之治乎 上黙然怒」라 하였음.
하민(下民)[슈신경츅가라 3 페이지 / 전적]
서민(庶民)과 같은 뜻으로 어떤 벼슬이나 신분적 특권을 갖지 못한 사람을 말함.
하백(河伯)[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11 페이지 / 전적]
「河伯」 - 莊子 大宗師註에 「馮夷 華陰潼鄕隄首人 服八石得水仙是爲河伯」이라 하였음.
하복(荷服)[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77 페이지 / 전적]
「荷服」-屈原의 籬騷에『製芠荷而爲衣兮 集芙蓉而爲裳』이란 句가 있음.
하북하남성(河北河南省)[자탄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북부의 하북성과 하남성을 말함.
하분(河汾)[송강집(松江集三)3 27 페이지 / 전적]
수(隋)나라 왕통(王通)이 학문을 하분(河汾)에서 강론하였는데 제자가 수십인으로 이들을 하분문하(河汾門下)라 칭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