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하근인(下根人)[권왕가 17 페이지 / 전적]
앞에 든 각주 217 참조. 하품 연화(下品蓮花) : 낮은 품위의 연꽃.
하나하나의 동작[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50 페이지 / 전적]
일동일정(一動一靜)을 이름.
하난(何難)을 당(當)한들[대효가(大孝歌) 5 페이지 / 전적]
아주 어려운 일을 당한들.
하난(何難)을 당(當)한들[사군가(事君歌) 1 페이지 / 전적]
아주 어려운 일을 당한들.
하난구[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24 페이지 / 전적]
하는 것은.
하남(河南)[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98 페이지 / 전적]
「河南 邵子」―程明道兄弟와 邵康節을 말한 것임.
하남(河南)[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36 페이지 / 전적]
「河南夫子」―程明道 伊川 兄弟를 말함. 朱熹大學序에「河南程氏兩夫子出」이라는 대문이 있음.
하남(河南)[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125 페이지 / 전적]
二程全書에 「艮思不出其位 乃止其所也 動靜不失其時 皆止其所也艮其背 乃止也背 無欲無私也 故可止」라 했음.
하남(河南)[석천집(石川集二-三)2-3 12 페이지 / 전적]
송(宋)나라 윤수(尹洙)의 존칭. 하남 사람. 자는 사노(師魯) 춘추(春秋)에 능통했으며 박학했다. 문장은 고문을 좋아해서 간결하면서도 법도가 있었다.
하남도(河南道)[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50 페이지 / 전적]
고려 시대에 둔 십도(十道)의 하나. 공주(公州)·운주(運州) 등의 11주(州) 34현(縣)을 관할하였다.
하남정씨양부자출(河南程氏两夫子出)[구궁환정구구가(九宮還定九九歌) 9 페이지 / 전적]
하남 땅에 정씨(程氏) 두 부자가 나왔다.'는 뜻으로 주희가 『대학(大學)』에 주석을 달아 펴낸 대학장구서(大學章句序)에 수록된 내용이다.
하남정씨양부자출(河南程氏两夫子出)[회과자책가(悔過自責歌) 1 페이지 / 전적]
하남 땅에 정씨(程氏) 두 부자가 나왔다.'는 뜻으로 주희가 『대학(大學)』에 주석을 달아 펴낸 대학장구서(大學章句序)에 수록된 내용이다.
하내(河內)[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9 페이지 / 전적]
남성(河南省) 황하(黃河) 이북(以北) 땅의 총칭(總稱).
하내(河內)[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9 페이지 / 전적]
남성(河南省) 황하(黃河) 이북(以北) 땅의 총칭(總稱).
하내(河內)[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9 페이지 / 전적]
남성(河南省) 황하(黃河) 이북(以北) 땅의 총칭(總稱).
하내(河內)[대명복수가(명복수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남성(河南省) 황하(黃河) 이북(以北) 땅의 총칭(總稱).
하내(河內)[대명복수가(명복수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남성(河南省) 황하(黃河) 이북(以北) 땅의 총칭(總稱).
하내수인이독총(何奈愁人耳獨聰)[한양가라 28 페이지 / 전적]
어찌타 시름 많은 나만 듣는고
하년하일(何年何日)[반졀퓨리 7 페이지 / 전적]
어느 해 어느 날.
하념(下念)[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50 페이지 / 전적]
윗사람의 아랫사람에 대한 염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