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하념(下念)[옥산가라 40 페이지 / 전적]
윗사람이 아랫사람을 염려하여 줌. 또는 그런 염려를 아랫사람이 높여서 이르는 말.
하노님이 우의신다[위옥자회가라(위옥과회가라) 4 페이지 / 전적]
하느님이 웃으신다(웃는다).
하느님의[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82 페이지 / 전적]
「天休」- 하늘의 아름다움을 말함. 書經武成篇에 「天休震動 用附我大邑周」라 하였음.
하는이는[백발가(白髮歌) 9 페이지 / 전적]
하는 사람은.
하늘[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35 페이지 / 전적]
「摩天遊」 - 圖南의 大鵬을 말함.
하늘[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38 페이지 / 전적]
「談天窮瀛」― 戰國詩人 騶衍을 말함. 史記 孟子荀卿列傳에 依하면, 騶衍은「其語閎大不經……中國名曰赤縣神州 赤縣神州內自有九州 禹之序九州是也 不得爲
하늘[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70 페이지 / 전적]
「天知」-東漢 楊震의 字는 伯起인데 늦게 出仕하여 荊州剌史가 되자 淸廉으로 自矢하여 일찌기 暮夜의 賄金을 물리치며『天知神知子知我知』라는 말을 남겼음.
하늘[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55 페이지 / 전적]
「柱折維傾」―上古時代에 共公이 祝融과 더불어 싸워 이기지 못하자 머리로 不周山을 부딪치니 山이 무너져 天柱가 꺾이고 地維가 기울었다. 그래서 女媧氏는 五色의 돌을 달구어서 하늘을 때웠다 하였음.
하늘과 수향이[석천집(石川集二-二)2-2 243 페이지 / 전적]
잠자는 동안에 혼이 가는 곳이니, 꿈나라를 가리킨다.
하늘꽃[권왕가 7 페이지 / 전적]
천화(天華). 천상계(天上界)에 핀다는 영묘한 꽃. 또는, 천상계의 꽃에 비길 만 한 영묘한 꽃.
하늘에……인정하고[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76 페이지 / 전적]
《孟子 萬章上》에, 요 임금이 순을 하늘에 천거하자 하늘이 받았다는 말이 있고, 순 임금이 우(禹)에게 홍수를 다스리도록 하였기 때문데 순 임금의 공으로 쓴 것이다.
하늘은 높지만, 낮은 곳 일 잘 들으시니[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44 페이지 / 전적]
‘천고 청비(天高聽卑)’의 고사를 의미함.
하닌들은 압서우고[형제붕우소회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하인들을 앞세우고.
하님[사친가2(思親歌(二)) 5 페이지 / 전적]
여자 종을 대접하여 부르거나, 여자 종들이 서로 높여 부르던 말. 교전비(郊餞婢) : 성문(城門) 밖에 나가서 사람을 전송하는 여자 종.
하님[사친가2(思親歌(二)) 7 페이지 / 전적]
앞에 든 주 71 참조. 서이 : 셋이. 이에 대한 가사 원문에서의 표기는 ‘서니’로 되어 있음.
하님[조씨가천소리 1 페이지 / 두루마리]
여자 종을 대접하여 부르거나, 여자 종들이 서로 존대하여 부르는 말.
하님[신힁가라 4 페이지 / 전적]
여자 종을 대접하여 부르거나 여자 종들이 서로 높여 부르던 말.
하님년[사친가2(思親歌(二)) 8 페이지 / 전적]
‘하님’을 비속하게 이르는 말. 하님 : 앞에 든 주 71 참조.
하당(下堂)[헌수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마당에 내려옴.
하당(下堂)[사군가(事君歌) 4 페이지 / 전적]
①방이나 마루에서 뜰로 내려옴②하화별신굿놀이에서, 본놀이를 시작(始作)하기 전(前)에 서낭당에서 신이 내린 서낭대와 성줏대를 받들고 농악(農樂)을 울리며 다녀가는 곳의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