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하도이치(河圖理致)[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4 페이지 / 전적]
중국 고대 복희씨(伏羲氏) 때, 황하(黃河) 강에서 나온 용마(龍馬)의 등에 그려졌던 ‘하도(河圖)’에 담긴 이치를 가리킴.
하도이치(河圖理致)[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7 페이지 / 전적]
중국 고대 복희씨(伏羲氏) 때, 황하(黃河) 강에서 나온 용마(龍馬)의 등에 그려졌던 ‘하도(河圖)’에 담긴 이치를 가리킴.
하도이치(河圖理致)[해몽가라(몽가라) 6 페이지 / 전적]
중국 고대 복희씨(伏羲氏) 때, 황하(黃河) 강에서 나온 용마(龍馬)의 등에 그려졌던 ‘하도(河圖)’에 담긴 이치를 가리킴.
하도이치(河圖理致)[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2 페이지 / 전적]
중국 고대 복희씨(伏羲氏) 때, 황하(黃河) 강에서 나온 용마(龍馬)의 등에 그려졌던 ‘하도(河圖)’에 담긴 이치를 가리킴.
하도이치(河圖理致)[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4 페이지 / 전적]
중국 고대 복희씨(伏羲氏) 때, 황하(黃河) 강에서 나온 용마(龍馬)의 등에 그려졌던 ‘하도(河圖)’에 담긴 이치를 가리킴.
하도이치(河圖理致)[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7 페이지 / 전적]
중국 고대 복희씨(伏羲氏) 때, 황하(黃河) 강에서 나온 용마(龍馬)의 등에 그려졌던 ‘하도(河圖)’에 담긴 이치를 가리킴.
하도중지하강(何道中之下降)고[길자가(吉字歌) 3 페이지 / 전적]
어떠한 도 가운데 하강한 것인고.
하도중지하강(何道中之下降)고[정도선림하정씨가(正道仙林下鄭氏歌) 1 페이지 / 전적]
어떠한 도 가운데 하강한 것인고.
하도할샤[ 1 페이지 / ]
많기도 많으도다.
하동(夏冬)[천지지분이라(천디디분이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여름과 겨울.
하동하서[몽유가(몽류가) 8 페이지 / 전적]
하동하서(河東河西)는 ‘은하수의 동쪽과 서쪽으로 나뉘어 있고’의 뜻임.
하동하서[몽유가(몽류가) 8 페이지 / 전적]
하동하서(河東河西)는 ‘은하수의 동쪽과 서쪽으로 나뉘어 있고’의 뜻임.
하등(夏等)[아림가(娥林歌) 30 페이지 / 전적]
① 예전에, 등급을 춘ㆍ하ㆍ추ㆍ동의 넷으로 나눈 것의 둘째. ② 여름에 거두어들이던 조세.
하래(下來)[회혼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내려옴. 서울에서 시골로 내려옴을 뜻한다.
하령(下令)[윤낭자영남가(윤낭영남가) 32 페이지 / 전적]
명령을 내리다.
하령(夏令)[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3 페이지 / 전적]
인월(寅月)로 세수(歲首)하던 하우씨(夏禹氏)의 역법을 두고 이름.
하례(賀禮)[고분가 10 페이지 / 전적]
축하하여 예를 차림.
하례(賀禮)[고분가 10 페이지 / 전적]
축하하여 예를 차림.
하루도 비현합(丕顯閤)[백세보중(百世葆重 一)1 49 페이지 / 전적]
경복궁의 사정전(思政殿)에 딸린 부속 건물의 이름.
하루아침[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35 페이지 / 전적]
「司空」- 본래는 官名인데 獄名이기도 함. 禮記 月令에『仲春之月 命有司 省囹圄』라 했고, 䟽에「囹圄는 秦의 獄名인데漢」은 若盧, 魏는 司空이라 했다 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