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039개

하분(河汾)[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90 페이지 / 전적]

「河汾」-唐書 王績傳에 「績의 兄 通은 隋末의 大儒로서 文從를 河汾의 사이에 모우고 六經을 倣作했다」했는데 바로 文仲子를 말한 것임。劉壎의 詩에 「一代風流起晋宋 百年禮樂起河汾」이란 句가 있음。

하빈(河濱)[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5 페이지 / 전적]

황하(黃河)의 물가. 하빈(河濱)에서 만들어진 도기(陶器)가 매우 조악하였으나 순(舜)이 직접 가서 그릇을 만들었더니 1년 만에 도기의 품질이 향상되었다고 함.

하빈(河濱)[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5 페이지 / 전적]

황하(黃河)의 물가. 하빈(河濱)에서 만들어진 도기(陶器)가 매우 조악하였으나 순(舜)이 직접 가서 그릇을 만들었더니 1년 만에 도기의 품질이 향상되었다고 함.

하빈(河濱)[타미계라(라미키라) 6 페이지 / 전적]

대구광역시 달성지역의 옛 지명.

하빈(河濱)[타미계라(라미키라) 6 페이지 / 전적]

대구광역시 달성지역의 옛 지명.

하빈(河濱)의 독장사[역대가라(역가라) 4 페이지 / 전적]

有虞 舜 임금이 하빈(河濱) 땅에서 질그릇을 구웠던 일을 말함.

하사비군(何事非君)[한흥가라 34 페이지 / 전적]

누가 다스린들 임금이 아닌가.

하사비군(何事非君)[한흥가라 34 페이지 / 전적]

누가 다스린들 임금이 아닌가.

하사비군(何事非君)[한흥가라 34 페이지 / 전적]

누가 다스린들 임금이 아닌가.

하사비군(何事非君)[한양가라 33 페이지 / 전적]

누구를 섬긴들 임금이 아니랴.

하사성공(何事成功)[신자가(信字歌) 9 페이지 / 전적]

어찌 일을 성공하는가.

하사월(夏四月)[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5 페이지 / 두루마리]

음력 4월 여름.

하사월(夏四月)[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5 페이지 / 두루마리]

음력 4월 여름.

하삭(河朔)[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27 페이지 / 전적]

「河朔餘風」-中國 黃河以北의 地城을 河朔이라 稱하는데 宋史에『河朔은 地方이 數千里요 連城이 三十六이라』라 하였음.

하산공망(下散空亡)[이십사룡입수(二十四龍入首) 4 페이지 / 전적]

아래 부분이 산만해서 텅 비워있다.

하상견지(何相見之晩也)[용문가라 15 페이지 / 전적]

어찌 만남이 늦었는가.

하상하촌[어와따님요(어와님요) 3 페이지 / 전적]

상촌 하촌 할 것 없이 온 마을.

하상호(河上乎)에 소요(逍遙)[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4 페이지 / 전적]

하상호(河上乎)에 소요(逍遙)[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4 페이지 / 전적]

하서[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60 페이지 / 전적]

문정공 (文正公) 김인후 (金麟厚)의 호이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