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039개

현구례(見舅禮)[사친가2(思親歌(二)) 8 페이지 / 전적]

구고례(舅姑禮). 전통 혼례에서 폐백(幣帛)을 달리 이르는 말. 신부가 혼례를 마치고 시댁에 와서 시부모를 비롯하여 여러 시댁 어른에게 드리는 첫인사.

현구례(見舅禮)[화초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현구고례(見舅姑禮). 신부가 예물을 가지고 처음으로 시부모를 뵙는 일.

현구례(見舅禮)[화초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현구고례(見舅姑禮). 신부가 예물을 가지고 처음으로 시부모를 뵙는 일.

현구례(見舅禮)[신힁가라 10 페이지 / 전적]

신부가 신랑의 부모와 친척에게 첫인사를 하는 의식으로 우귀(于歸)일에 함.

현구례(見舅禮)[가사애부가(가부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신부가 시댁 친지들에게 처음으로 절을 올리는 예로 우귀일(于歸日)이나 다음날 아침에 행함.

현구례(見舅禮)[후임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신부가 예물을 가지고 처음으로 시부모를 뵙는 일.

현군(賢君)[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49 페이지 / 전적]

어질고 현명한 임금.

현금(縣衾)하며 협침(篋枕)하고[사친가(事親歌) 33 페이지 / 전적]

이불은 묶어서 매어 달며 베개는 상자에 넣어두고.

현기(玄機)[경화가(警和歌) 30 페이지 / 전적]

‘현묘한 기틀’을 말함. 이것은 한울님의 뜻에 의하여 나타나게 되는 깊고 오묘한 이치를 말함.

현기(玄機)[경화가(警和歌) 30 페이지 / 전적]

‘현묘한 기틀’을 말함. 이것은 한울님의 뜻에 의하여 나타나게 되는 깊고 오묘한 이치를 말함.

현기(玄機)[직금가라 8 페이지 / 전적]

깊고 오묘한 이치.

현단장보(玄端章甫) 소상자(小相者)[신정도덕가 6 페이지 / 전적]

공서적(公西赤)은 공자 제자로서 ‘네 소원이 뭐냐?’고 묻자, 저는 ‘현단장보(玄端章甫)로 소상(小相)이 되기를 원한다.’라고 대답했음.

현달(顯達)[과부가(寡婦歌) 1 페이지 / 전적]

벼슬․명성․덕망이 높아서 이름이 세상에 드러나는 것.

현달(顯達)[명륜가(明倫歌) 25 페이지 / 전적]

지위와 이름이 함께 높아서 드러남.

현답(賢答)[답가사라(답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현명한 답변.

현답(賢答)[답가사라(답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현명한 답변.

현덕(玄德)[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43 페이지 / 전적]

「玄德」- 昭列帝 劉備의 字인데 中山靖王의 劉勝의 後孫으로天下를 三分하여 成都에 定都하고 國號를 蜀漢이라 하여 兩世를 傳하였음.

현덕왕후(顯德王后)[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85 페이지 / 전적]

조선 단종의 어머니(1418~1441)로 성은 권(權)이다. 세종 13년(1431)에 세자궁에 궁녀로 들어가 승휘(承徽)에 봉하여졌으며, 세종 19년(1437)에 세자빈에 책봉되었으나 가례(嘉禮)를 행하지 못하고 죽었다.

현도[팔역가(八域歌) 9 페이지 / 전적]

한무제가 설치한 한 사군의 하나

현도(玄菟)[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5 페이지 / 전적]

기원전 108년에 전한(前漢)의 무제가 세운 한사군 가운데 가장 북쪽에 있던 군. 그 위치에 관하여는 정설이 없으며, 광개토 대왕 14년(404) 이전에 요동군과 함께 고구려에 병합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