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039개

현산(峴山)[관동별곡 13 페이지 / 전적]

양양 북쪽의 고갯마루 산.

현상(賢相)[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82 페이지 / 전적]

현재상, 어진 재상.

현상양좌(賢相良佐)[조심가라 15 페이지 / 전적]

어질고 유능하여 임금을 잘 보필하는 신하.

현상양좌(賢相良佐)[조심가라 15 페이지 / 전적]

어질고 유능하여 임금을 잘 보필하는 신하.

현상호의(玄裳縞衣)[명륜가(明倫歌) 66 페이지 / 전적]

‘호의현상(縞衣玄裳)’으로도 쓰며, ‘흰 비단 저고리와 검은 치마 차림’이라는 뜻으로 ‘학(鶴)’을 비유하는 말.

현상호의(玄裳縞衣)[고분가 11 페이지 / 전적]

검은 치마와 흰 저고리라는 뜻으로, ‘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현상호의(玄裳縞衣)[고분가 11 페이지 / 전적]

검은 치마와 흰 저고리라는 뜻으로, ‘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현서(賢壻)[칠여가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어진 사위라는 뜻으로, 자기의 사위나 남의 사위를 높여 이르는 말.

현성(賢聖)[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71 페이지 / 전적]

「賢聖」-술의 淸은 聖이라 이르고 濁은 賢이라 稱함. 李適之詩에『避賢初罷相 樂聖且銜盃』라 했음.

현성(賢聖)[경기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현인(賢人)과 성인(聖人)을 아울러 이르는 말. 불교에서, 현인과 성자(聖者)를 아울러 이르는 말. 불도를 수행하는 사람 가운데 견도(見道) 이상에 이른 사람이 성자이며, 견도에 이르지는 않았으나 악(惡)에서 벗어난 사람이 현인임. 소승에서는 칠현 칠성(七賢七聖)을 말하고, 대승에서는 칠현 십성(七賢十聖)을 말함.

현성(賢聖)[경기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현인(賢人)과 성인(聖人)을 아울러 이르는 말. 불교에서, 현인과 성자(聖者)를 아울러 이르는 말. 불도를 수행하는 사람 가운데 견도(見道) 이상에 이른 사람이 성자이며, 견도에 이르지는 않았으나 악(惡)에서 벗어난 사람이 현인임. 소승에서는 칠현 칠성(七賢七聖)을 말하고, 대승에서는 칠현 십성(七賢十聖)을 말함.

현소[팔역가(八域歌) 32 페이지 / 전적]

일본 중으로 역관

현소(玄素)[노졍긔 39 페이지 / 전적]

‘이별(離別)’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현소(玄素)[노졍긔 39 페이지 / 전적]

‘이별(離別)’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현손(玄孫)[축원하온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증손자의 아들, 손자의 손자. 태조의 손자(세종)의 손자가 곧 단종이다.

현손(玄孫)[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27 페이지 / 전적]

증손자의 아들. 또는 손자의 손자.

현송(絃誦)[충효가 4 페이지 / 전적]

노래하고 암송함.

현송(絃誦)[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13 페이지 / 전적]

「絃誦」- 禮記 文王世子에「春誦夏弦」이 있는데, 註에는 「誦은歌樂을 이름이오 弦은 絲로써 詩를 播함을 이름이다」했고,疏에는 「誦은 歌樂의 篇章을 口誦하고 琴瑟로 노래하지 않음을 이름이요 弦은 琴瑟로써 詩의 音節을 播함을 이름이다」라 하였음.

현송(絃誦)[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65 페이지 / 전적]

「絃誦」-絃誦과 같은데 즉 絃歌와 誦讀을 이름. 禮記 文王世子에 『春誦夏弦』이라 했는데 註에 『誦은 歌樂을 이름이요 弦은 絲로써 詩를 播한 것을 이름이다』라 했고 䟽에『誦은 歌樂의 篇章을 口誦하고 琴瑟로써 노래하지 않음을 말한 것이요 弦은 以絲播詩라고 한 것은 琴瑟로써 그 詩의 音節을 播한다는 것이다』라 했음.

현수(懸殊)[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27 페이지 / 전적]

현격하게 다르거나 거리가 멀어서 동떨어져 있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