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039개

현무방(玄武方)[사친가1(思親歌(一)) 10 페이지 / 전적]

현무의 방향. 북쪽 방향. 현무(玄武) : 28수(宿) 가운데 남서쪽에 있는 일곱 별의 총칭. 또는 북쪽의 신(神), 즉 물의 신으로 동쪽의 청룡(靑龍), 서쪽의 백호(白虎), 남쪽의 주작(朱雀)과 함께 사신(四神)의 하나임.

현무지기(玄武之氣)수기기운(水氣氣運)남은고(故)로[경화가(警和歌) 21 페이지 / 전적]

오행으로 북쪽에 해당하는 동물이 ‘현무’임. 따라서 북쪽은 수(水)이니 북쪽의 물의 기운. 즉, 겨울의 음(陰)의 기운이 아직 남아 있음.

현무지기(玄武之氣)수기기운(水氣氣運)남은고(故)로[경화가(警和歌) 21 페이지 / 전적]

오행으로 북쪽에 해당하는 동물이 ‘현무’임. 따라서 북쪽은 수(水)이니 북쪽의 물의 기운. 즉, 겨울의 음(陰)의 기운이 아직 남아 있음.

현문(懸門)복가(福家)[리행소챙가 49 페이지 / 전적]

현달하고 복된 가문.

현반(懸盤)[부모가훈계하는가사(부모가훈게하는가) 28 페이지 / 두루마리]

‘선반’의 본딧말.

현발사(懸鉢砂)[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5 페이지 / 전적]

바루를 거꾸로 매달아 놓은 모습의 사(砂)의 형세.

현발사(懸鉢砂)[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5 페이지 / 전적]

바루를 거꾸로 매달아 놓은 모습의 사(砂)의 형세.

현발사(懸鉢砂)[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3 페이지 / 전적]

바루를 거꾸로 매달아 놓은 모습의 사(砂)의 형세.

현배하고[착현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하직 인사를 올린 것.

현부[용문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현부(賢否). 어질고 어질지 못함.

현부(玄符)[ 1 페이지 / ]

현(玄)은 검정색으로《周易 坤卦 文言》의 ‘하늘은 검고 땅은 누르다.〔天玄而地黃〕‘는 말에 근거하여 하늘을 나타내는 말로 쓰이며, 부(符)는 상서로운 조짐을 말한다

현부(玄符)[고봉선생문집 권삼(高峰先生文集 券三) 36 페이지 / 전적]

현(玄)은 검정색으로《周易 坤卦 文言》의 ‘하늘은 검고 땅은 누르다.〔天玄而地黃〕‘는 말에 근거하여 하늘을 나타내는 말로 쓰이며, 부(符)는 상서로운 조짐을 말한다

현부(賢否) 극택(極擇)[ 1 페이지 / ]

현명한 것과 그렇지 못한 것. 매우 정밀하게 잘 골라 택하는 일.

현부(賢否) 극택(極擇)[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97 페이지 / 전적]

현명한 것과 그렇지 못한 것. 매우 정밀하게 잘 골라 택하는 일.

현부(賢否), 극택(極擇[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37 페이지 / 전적]

현명한 것과 그렇지 못한 것, 매우 정밀하게 잘 골라 택하는 일.

현부(賢婦)[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44 페이지 / 전적]

어진 며느리. 또는 현명한 부인.

현부(賢婦)[치황창가 6 페이지 / 전적]

어진 며느리.

현부(賢婦)[어와따님요(어와님요) 4 페이지 / 전적]

현명한 부인, 어진 며느리.

현부(賢婦)[별한가 26 페이지 / 전적]

어진 며느리. 또는 현명한 부인.

현부인(賢夫人)[사향곡(향곡) 5 페이지 / 전적]

어진 부인.남의 부인을 높여 이르는 말.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