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039개

현가(絃歌)[석천집(石川集二-一)2-1 33 페이지 / 전적]

子游가 武城宰가 되니 邑人이 모두 鉉歌를 했다.「論語」

현가일곡(絃歌一曲)[낙지가 8 페이지 / 전적]

거문고 한 곡조.

현가주연(絃歌酒宴)[유회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현악기로 노래부르고 술을 마시며 즐겁게 노는 잔치.

현감(玄鑑)[ 1 페이지 / ]

천감(天鑑)과 같은 말로 하늘에서 굽어봄을 뜻한다.

현감(玄鑑)[고봉선생문집 권삼(高峰先生文集 券三) 56 페이지 / 전적]

천감(天鑑)과 같은 말로 하늘에서 굽어봄을 뜻한다.

현격(懸隔)[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7 페이지 / 전적]

동떨어져서 차이가 매우 심함.

현관(絃管)[오윤가 28 페이지 / 전적]

관현(管絃)과 같은 말로, 관악기와 현악기를 아울러 이르는 말.

현관소의(玄冠素衣)[명륜가(明倫歌) 32 페이지 / 전적]

검은 관과 흰 옷으로 평상 복장을 말함.

현관오장(玄關奧藏)[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104 페이지 / 전적]

玄觀은 妙藏을 비유한 것임. 李華의 著作㕔記에 「登陟蓬萊之峯 循環藏室之奧」라 하였음.

현구고(見舅姑)[명륜가(明倫歌) 69 페이지 / 전적]

신부가 폐백을 가지고 처음으로 시부모님께 뵘.

현구고(見舅姑)[복션화음록 6 페이지 / 전적]

시집와서 처음으로 시아비지와 시어머니를 알현한 것을 말한다.

현구고(見舅姑)[효봉구고치산가 7 페이지 / 전적]

신행 때, 시아버지와 시어머니에게 구고례(舅姑禮)를 하여 인사를 드리는 일.

현구고(見舅姑)[리행소챙가 31 페이지 / 전적]

신부가 폐백을 가지고 처음으로 시부모를 뵙는 일.

현구고(見舅姑)[쳥츈상심곡(쳥츈심곡) 4 페이지 / 두루마리]

신부가 예물을 가지고 처음으로 시부모를 뵙는 일.

현구고(見舅姑)[봉별가 7 페이지 / 전적]

신부가 예물을 가지고 처음으로 시부모를 뵙는 일.

현구고(見舅姑)[김씨효행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신부가 예물을 가지고 처음으로 시부모를 뵙는 일.

현구고례(見舅姑禮)[쌍옥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혼인할 때 신부(新婦)가 폐백(幣帛)을 가지고 와서 시집에서 처음으로 시부모를 뵙는 일. 여기서는 첫날밤을 치른 신랑이 장인과 장모에게 인사하는 것을 이름.

현구례[효부가 6 페이지 / 전적]

현구례(見舅禮)는 구고(舅姑)를 뵙는 예식이다. 곧 신부가 예물을 가지고 처음으로 시부모님을 뵙는 예를 말한다.

현구례(見舅禮)[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3 페이지 / 두루마리]

신부가 시부모와 시가의 사람들에게 절을 하는 것으로, 폐백이라고도 함.

현구례(見舅禮)[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3 페이지 / 두루마리]

신부가 시부모와 시가의 사람들에게 절을 하는 것으로, 폐백이라고도 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