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039개

현판(懸板)[한양가라 6 페이지 / 전적]

글자나 그림을 새겨 문 위나 벽에 다는 널조각.

현판(懸板)[셔유곡 10 페이지 / 전적]

글자나 그림을 새겨 문 위나 벽에 다는 널조각. 흔히 절이나 누각, 사당, 정자 따위의 들어가는 문 위, 처마 아래에 걸어 놓음.

현판(懸板)[금강산유람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글자나 그림을 새겨 문 위나 벽에 다는 널조각. 흔히 절이나 누각, 사당, 정자 따위의 들어가는 문 위, 처마 아래에 걸어 놓음.

현포[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07 페이지 / 전적]

신선이 사는 곳으로 곤륜산(崑崙山) 꼭대기에 있다 한다.《水經河水注》

현포(玄圃)[혼행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곤륜산 위에 신선이 산다는 곳.

현학(玄鶴)[석천집(石川集二-三)2-3 11 페이지 / 전적]

천년이 되어서 털빛이 검게 된 늙은 학.

현학금(玄鶴琴)[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47 페이지 / 전적]

거문고를 뜻한다.

현현 역색(賢賢易色)[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44 페이지 / 전적]

「賢賢」-賢賢易色의 略稱임. 論語 學而篇에『賢賢易色』이란대문이 있음.

현현(玄玄)[유소가 8 페이지 / 전적]

헤아릴 수 없이 깊고 미묘함.

현현묘묘(玄玄妙妙)[셩경가 4 페이지 / 전적]

깊고 헤아릴 수 없이 미묘한 경지.

현현묘묘(玄玄妙妙)[셩경가 4 페이지 / 전적]

깊고 헤아릴 수 없이 미묘한 경지.

현현묘묘현모리(玄玄妙妙玄妙里)요 유유무무유무중(有有無無有無中)[칠월식과 5 페이지 / 전적]

현현하고 묘한 이치는 있는 가운데 없고 없는 가운데 있다. 즉 있다고 생각하면 있고 없다고 생각하면 없다는 것임.

현현적적(玄玄寂寂)[셩경가 6 페이지 / 전적]

현적(玄寂). 깊숙하고 고요함.

현현적적(玄玄寂寂)[셩경가 6 페이지 / 전적]

현적(玄寂). 깊숙하고 고요함.

현형(賢兄)[리행소챙가 74 페이지 / 전적]

편짓글 등에서 벗을 높여 일컫는 말.

현형(賢兄)[리행소챙가 86 페이지 / 전적]

벗을 높여 부름.

현혹(顯色)[복션화음이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뚜렷이 드러나 보이는 색깔. 청(靑), 황(黃), 적(赤), 백(白)의 네 가지 본색(本色)과 이것이 변하여 된 구름, 연기, 티끌, 안개, 그림자, 햇빛, 햇빛 이외의 밝음, 어두움의 여덟 가지를 이른다.

현화(玄花)[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25 페이지 / 전적]

「玄花」― 眼花를 말함.

현황(眩恍)하여[츄풍간별곡 차(츄풍간별곡 ) 10 페이지 / 전적]

정신이 어지럽고 황홀하여.

현황(眩慌)[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6 페이지 / 두루마리]

정신이 어지럽고 황홀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