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현저(顯著)[거상제향가(居喪祭享歌) 14 페이지 / 전적]
뚜렷이 심하게 드러남.드러나서 두드러짐.
현저(顯著)[지효가(知孝歌) 2 페이지 / 전적]
뚜렷이 심하게 드러남.드러나서 두드러짐.
현전 일념(現前一念)[권왕가 35 페이지 / 전적]
눈앞에 바로 떠오는 일념. 일념(一念) : 앞에 든 각주 233 참조.
현전(現前)[권왕가 15 페이지 / 전적]
눈앞. 또는 그 앞에 나타나 있음.
현정(玄亭)[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111 페이지 / 전적]
漢 揚雄의 書室을 말함 이는 선생을 두고 이른 말임.
현조(玄鳥)[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90 페이지 / 전적]
「玄鳥殷基」― 玄鳥는 鳦로 즉 䴏인데 色이 검어 玄鳥라 한다. 春分이 되면 玄鳥가 나온다. 史記에 의하면 「高辛氏의 妃는 有娥氏의 女 簡狄인데 高辛氏와 郊楳에 기도하자 鳦이 卵을 떨어뜨리니 簡狄이 그 알을 삼키고 契를 낳았다」하였음.
현조(玄鳥)[송구영신가권지일(送舊迎新歌卷之一) 32 페이지 / 전적]
제비.
현조(玄鳥)[셔유곡 12 페이지 / 전적]
제비2(제빗과의 새).
현조(玄鳥)[창덕가2 92 페이지 / 전적]
제비.
현조(玄鳥)[창덕가2 93 페이지 / 전적]
제비.
현조(顯祖)[슈절자탄가 7 페이지 / 전적]
이름이 높이 드러난 조상.
현조(顯祖)[슈절자탄가 7 페이지 / 전적]
이름이 높이 드러난 조상.
현조(顯祖)[벽천가 68 페이지 / 전적]
이름이 높이 드러난 조상.
현종[팔역가(八域歌) 50 페이지 / 전적]
숙종인지 선종인지 확실치 않음
현종(顯宗)[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51 페이지 / 전적]
고려 제8대 왕(992~1031)으로 이름은 순(詢), 자는 안세(安世)이다. 거듭된 거란의 침입으로 혼란을 겪었으나 1022년 강화(講和)하여 국내가 안정되었으며, 제도를 정비하고 대장경의 조판과 실록의 찬수 등으로 문화를 발전시켰다. 재위 기간은 1010~1031년이다.
현종대왕(顯宗大王)[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28 페이지 / 전적]
조선 제18대 왕(1641~1674)으로 즉위 직후 조대비(趙大妃)의 복상(服喪) 문제로 남인과 서인이 당쟁을 벌여 많은 유신(儒臣)이 희생되었으며, 대동법을 전라도에 실시하고 동철제(銅鐵製) 활자 10만여 자를 주조하였음.
현주(玄酒)[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59 페이지 / 전적]
「玄酒」― 찬물을 말함. 禮記에「故玄酒在室」이라 했는데, 䟽에「水色이 黑인 때문에 玄이라 이른다. 太古에는 술이 없으므로찬물이 술 쓸데를 대신했다. 그래서 玄酒라 했다」라 하였음 希聲註의 邵雍詩에 나타나 있음
현쥬니[용문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현주(懸珠)하니. 매달린 구슬처럼 아름답다는 말.
현질(賢姪)[냥신낙사가(냥신낙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어진 조카라는 뜻으로, ‘조카’를 높여 이르는 말.
현질(賢姪)[노졍긔 39 페이지 / 전적]
어진 조카라는 뜻으로, ‘조카’를 높여 이르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