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039개

화상(畵像)[한양가라 69 페이지 / 전적]

사람의 얼굴을 그림으로 그린 형상.

화색(和色)[지효가(知孝歌) 10 페이지 / 전적]

얼굴빛을 온화하게 함.

화색(和色)[효행가(孝行歌) 2 페이지 / 전적]

얼굴빛을 온화하게 함.

화색이요[화전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꽃이 피어 있는 붉은 색.

화생(化生)[권왕가 8 페이지 / 전적]

사생(四生) 중의 하나. 사생(四生) : 생물의 네 가지 생식 상태. 곧, 태생(胎生) ․ 난생(卵生) ․ 습생(濕生) ․ 화생(化生)의 네 가지.

화생(化生)[이율곡선생권선가(李栗谷先生勸善歌) 3 페이지 / 전적]

사생(四生)의 하나. 다른 물건에 기생하지 않고 스스로 업력에 의하여 갑자기 화성(化成)하는 생물을 이름.

화생(化生)[셩경가 3 페이지 / 전적]

사생(四生)의 하나. 다른 물건에 기생하지 않고 스스로 업력에 의하여 갑자기 화성(化成)하는 생물을 이른다.

화생(化生)[셩경가 3 페이지 / 전적]

사생(四生)의 하나. 다른 물건에 기생하지 않고 스스로 업력에 의하여 갑자기 화성(化成)하는 생물을 이른다.

화생(化生)[천지가 4 페이지 / 전적]

생물(生物)의 몸이나 그 조직(組織)의 일부(一部)가 형상(形狀)이나 기능(機能)을 바꾸어 달리 되는 일. 몸이나 의탁(依託)할 곳이 없이 홀연히 생겨나는 일. 또는, 그렇게 생겨난 귀신(鬼神).

화생(化生)[일월가 2 페이지 / 전적]

생물(生物)의 몸이나 그 조직(組織)의 일부(一部)가 형상(形狀)이나 기능(機能)을 바꾸어 달리 되는 일. 몸이나 의탁(依託)할 곳이 없이 홀연히 생겨나는 일. 또는, 그렇게 생겨난 귀신(鬼神).

화생(化生)[산천가 2 페이지 / 전적]

생물(生物)의 몸이나 그 조직(組織)의 일부(一部)가 형상(形狀)이나 기능(機能)을 바꾸어 달리 되는 일. 몸이나 의탁(依託)할 곳이 없이 홀연히 생겨나는 일. 또는, 그렇게 생겨난 귀신(鬼神).

화생만물(化生萬物)[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5 페이지 / 전적]

만물(萬物)이 생겨나고 변화하는 것.

화생만물(化生萬物)[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5 페이지 / 전적]

만물(萬物)이 생겨나고 변화하는 것.

화생토(火生土)[구궁환정구구가(九宮還定九九歌) 4 페이지 / 전적]

음양오행설에서 '화(火)'에서 '토(土)'가 생긴다는 뜻을 이르는 말이다.

화서(華胥)[석천집(石川集二-五)2-5 103 페이지 / 전적]

화서의 나라. 화서지몽(華胥之夢)의 고사를 염두하고 쓴 말임

화서(華胥)[자소가(소가) 4 페이지 / 전적]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인 복희(伏羲)씨의 모친으로, 화서(華胥)가 뇌택(雷澤

화서국(華胥國)[석천집(石川集二-三)2-3 70 페이지 / 전적]

화서지국(華胥之國). 안락하고 태평한 나라. 옛날 중국의 황제(黃帝)가 화서지국에서 노는 꿈을 꾼 다음에 천하가 잘 다스려졌다는 고사에서 유래된 말이다.

화서국(華胥國)[춘몽가(츈몽가) 6 페이지 / 전적]

화서지몽(華胥之夢)이라는 고사성어에 나오는 나라로 이상 세계.중국의 황제(黃帝)가 낮잠 중 꿈에 화서국(華胥國)에 가게 되었는데, 여기에서는 왕도, 계급의 구별도 없이 자연인 그대로여서 아무런 욕심, 증오, 생사의 두려움도 없이 사는 이상 세계였다고 함.

화서국(華胥國)[춘몽가(츈몽가) 6 페이지 / 전적]

화서지몽(華胥之夢)이라는 고사성어에 나오는 나라로 이상 세계.중국의 황제(黃帝)가 낮잠 중 꿈에 화서국(華胥國)에 가게 되었는데, 여기에서는 왕도, 계급의 구별도 없이 자연인 그대로여서 아무런 욕심, 증오, 생사의 두려움도 없이 사는 이상 세계였다고 함.

화서의 바람과 날에[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97 페이지 / 전적]

태평시대의 뜻.《列子 黃帝》에 ‘황제씨가 낮잠을 자던 중 꿈속에 화서의 나라에서 놀았는데, 그 나라는 임금도 없이 자연스럽게 살았고 백성들도 욕심이 없었다. 꿈을 깬 후 깨달음이 있어 천하를 잘 다스렸다.‘ 하였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