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화순(和順)[김대비훈민가(김비훈민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온화하고 양순함.
화순(和順)[여행록이라(여녹이라) 8 페이지 / 전적]
온화하고 양순함.
화순(和順)[벌교사(벌교) 8 페이지 / 전적]
온화하고 양순함.
화순(和順)[허후전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감화하여 순응함.
화순(和順)[백운처사경독가라(운처사경독가라) 4 페이지 / 전적]
전라남도 중앙부에 위치한 군으로 고인돌이 모여 있는 곳으로 유명하다.
화순(和順)[호남가라 2 페이지 / 전적]
전라남도 중앙부에 위치한 군으로 고인돌이 모여 있는 곳으로 유명하다.
화순和順하다.[청춘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온화하고 양순하다.
화슈도[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4 페이지 / 전적]
화수(華壽). 화수(華首). 나이 먹은 노인을 이름.
화신 미타(化身彌陀)[권왕가 17 페이지 / 전적]
화신(化身)의 아미타불. 화신(化身) : 중생을 구제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로 형상을 바꾸어 이 세상에 나타난 부처의 몸. 미타(彌陀) : 앞에 든 각주 86 참조.
화신불(化身佛)[권왕가 19 페이지 / 전적]
화신의 부처. 앞에 든 각주 219 참조.
화신풍(花信風)[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57 페이지 / 전적]
「花信風」-꽃 필 시기를 응하여 불어오기 때문에 信風이라 이름. 荊椘歲時記에『始梅花 終楝花 凡二十四番花信風』이 있고 또 呂氏春秋上農에 『風不信 則其花不成』이라 했다. 二十四番이란 一個月에 二氣 六侯로서, 小寒으로부터 穀雨에 이르기까지 무릇 四個月이면 八氣 二十四候가 되며 每候를 五日로 잡아一花의 風이 불어온다 자세히 말하자면 小寒에 一候는 梅花, 二候는 山茶三候는 水仙이며, 大寒에 一候는 瑞香, 二候는 蘭花 三候는 山礬이며 立春에 一候는 迎春.
화신풍(花信風)[비틀노래 2 페이지 / 두루마리]
꽃이 피는 것을 알리는 바람이라는 뜻으로, 꽃이 필 무렵에 부는 바람을 이르는 말이다. 또한 소한(小寒)에서 곡우(穀雨) 사이에 부는 봄바람으로 닷새마다 새로운 꽃을 피우며 분다.
화신풍(花信風)[화조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꽃이 피려고 함을 알리는 바람이라는 뜻으로, 꽃이 필 무렵에 부는 바람을 이르는 말.
화신풍(花信風)[제주여행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꽃이 피려고 함을 알리는 바람'이라는 뜻으로, '꽃이 필 무렵에 부는 바람'을 이르는 말.24번화신풍(二十四番花信風)의 준말.
화씨(和氏)[ 1 페이지 / ]
중국 춘추시대 초나라 사람인 변화卞和를 말한다. 그는 형산荊山에서 옥덩이 돌을 구하여 임금에게 바친 인물이다. 화씨지벽和氏之壁고사의 주인공이다.
화씨(和氏)[석천집(石川集二-一)2-1 7 페이지 / 전적]
楚의 和氏가 刑山에 璞을 얻어 楚王께 바쳤으나 玉工이 石이라 하는 바람에 다리를 잘리고 세 번을 올려서 마침내 天下의 美玉임을 인정받았다. 실력을 인정받지 못한데 비유한 말.
화씨벽(和氏璧)[석천집(石川集二-四)2-4 27 페이지 / 전적]
原文의 『連城』은 唐나라 詩人 楊炯의 <夜送趙縱>이란 詩의 『趙氏連城璧,由來天下傳.』에서 취해 온 말.『連城璧』은 秦나라가 趙나라에게 城을 주고 바꾸겠다던 和氏璧을 의미함.
화아(和雅)[권왕가 7 페이지 / 전적]
온화하고 우아함.
화악(華岳)[석천집(石川集二-三)2-3 122 페이지 / 전적]
화악산(華岳山). 경상북도 청도군(淸道郡)과 경상남도 밀양군(密陽郡)의 경계에 있는 산.
화안(和顔)[경영가라 10 페이지 / 두루마리]
부드럽고 온화하여 기쁜 빛이 도는 얼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