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039개

화월(花月)[우미인가라 7 페이지 / 전적]

꽃이 피고 달이 밝은 그윽한 정위. 화조월석(花鳥月夕)>

화월(花月)[셔유곡 9 페이지 / 전적]

꽃이 피고 달이 밝은 그윽한 정취.

화월옥면(花月玉面)[뎡슝샹회방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꽃과 달 같이 하얀 얼굴.

화월지태(花月之態)[상사진정몽가(相思陳情夢歌) 2 페이지 / 전적]

꽃이 피고 달이 밝은 그윽한 정취 풍기는 자태.

화위어(化爲魚)[ 1 페이지 / ]

변하여 물고기가 되는 것.

화유(花遊)[관등가(觀燈歌) 3 페이지 / 전적]

꽃놀이.

화유(花遊)[영산초장이라 3 페이지 / 전적]

꽃놀이.

화유(花遊)[도덕가라 1 페이지 / 전적]

꽃놀이.

화유시절(花遊時節)[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3 페이지 / 전적]

꽃놀이 하는 때.

화육(化育)[송강집(松江集三)3 24 페이지 / 전적]

성인(聖人)의 교화로 천지(天地)도 위치가 바루어지고 만물(萬物)도 화육된다는 뜻.

화육(化育)[송구영신가권지일(送舊迎新歌卷之一) 8 페이지 / 전적]

자연이 만물을 자연스럽게 기른다는 뜻.

화육만물(化育萬物)[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11 페이지 / 전적]

만물(萬物)을 기름.

화육만물(化育萬物)[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11 페이지 / 전적]

만물(萬物)을 기름.

화의(和議)[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23 페이지 / 전적]

화해(和解)하는 의논(議論).

화이지분(華夷之分)[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6 페이지 / 전적]

중국과 오랑캐의 구분.

화이지분(華夷之分)[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6 페이지 / 전적]

중국과 오랑캐의 구분.

화이지분(華夷之分)[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6 페이지 / 전적]

중국과 오랑캐의 구분.

화이지분(華夷之分)[대명복수가(명복수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과 오랑캐의 구분.

화이지분(華夷之分)[대명복수가(명복수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과 오랑캐의 구분.

화일(化日)[송강집(松江集二)2 58 페이지 / 전적]

濳天論에 「化國之日 舒而長」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