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화선(火扇)[셔유곡 12 페이지 / 전적]
불부채(불을 붙여 일으키는 데 쓰는 부채).
화선채선(華扇彩扇)[해동졍상국회방연(동졍상국회방연) 6 페이지 / 전적]
화선과 채선, 곧 화려하고 아름다운 부채와 채색한 부채.
화설(話說)[갑지녹이라 1 페이지 / 전적]
중국식 소설에 쓰는 말로 우리나라에서의 ‘각설(却說)’과 같은 말. 옛 소설에서 이야기를 시작할 때 쓰는 말.
화성(火城)[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92 페이지 / 전적]
「火城」― 唐國史補에 「京師歲旦曉漏 前宰相三司使大金吾 皆以華燭百炬擁焉 方布如城 謂之火城」이라 하였음. 蘇軾의 詩에「萬人爭看火城還」이라는 句가 보임.
화성(火星) 서류(西流)[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18 페이지 / 전적]
태양계의 넷째 벙 행성. 지구 궤도 바로 외측에 궤도가 있음. 서쪽으로 흐르는 것.
화성유수(華城留守)[로인가 12 페이지 / 전적]
화성은 조선 정조 17년(1793) 수원도호부(水原都護府)를 고친 이름임. 아울러 이곳에 쌓은 성곽을 가리키기도 함. 유수는 조선 시대에, 수도 이외의 요긴한 곳을 맡아 다스리던 정이품의 외관(外官) 벼슬을 가리킴.
화성의 붉음[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02 페이지 / 전적]
당 나라 때 원단(元旦) 이나 동지(冬至)가 되면 크게 조회를 열어 촛불을 수백개 베풀었는데, 이를 화성(火城)이라 했음.《唐國史補》
화셩이[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4 페이지 / 전적]
화성(和聲). 조화롭게 어울리는 소리.
화소함전(花笑檻前)[비틀노래 3 페이지 / 두루마리]
꽃이 난간 앞에서 웃음.
화수(和酬)[의향소창가 15 페이지 / 전적]
남이 보내온 시나 노래에 화답하여 다시 보냄.
화수(和酬)[리행소챙가 8 페이지 / 전적]
남이 보내온 시나 노래에 화답하여 다시 보냄.
화수(花樹)[반심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꽃이 피는 나무. 곧 친목, 화목을 말함.
화수미제(火水未濟)[해몽가라(몽가라) 6 페이지 / 전적]
주역의 마지막 64번째 괘.
화수회(花樹會)[환행가 19 페이지 / 두루마리]
같은 성을 가진 사람들이 친목을 위하여 이룬 모임이나 잔치.
화수회(花樹會)[환행가 19 페이지 / 두루마리]
같은 성을 가진 사람들이 친목을 위하여 이룬 모임이나 잔치.
화숙혜[상사곡이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음식 이름. 화채와 식혜 정도의 이름이 아닌가 생각된다.
화순(和順)[호남가(湖南歌) 3 페이지 / 전적]
전라남도의 중앙에 위치한 한 군으로 원래의 화순(和順), 능주(綾州), 동복(同福)의 3군을 합친 것이다. 화순은 백제의 내리바현(乃利바縣)인데, 신라 때 여미(汝湄)로 고치고, 고려 때에 화순(和順)으로 고치면서 나주(羅州)에 예속되었다. 조선조에 여러 차례 변혁하여. 1895년에 군(郡)이 되고, 1914년에는 능주(綾州), 동복(同福)의 양군(兩郡)을 합쳤다.
화순(和順)[오윤가 12 페이지 / 전적]
온화하고 부드러움.
화순(和順)[경게가라 9 페이지 / 전적]
온화하고 양순함.
화순(和順)[경게가라 9 페이지 / 전적]
온화하고 양순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