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039개

황량(黃梁)[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92 페이지 / 전적]

「黃梁夢」―唐 小說에 기록된 盧生이 邯鄲의 旅舍에서 呂翁을만난 故事인데、위에 나타나 있음。

황량(黃粱)[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118 페이지 / 전적]

「黃粱」-黃粱夢을 말한 것인데 위에 보임。

황량(黃粱)[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54 페이지 / 전적]

「黃粱」- 黃粱夢을 말함.『唐나라 盧生이 邯鄲의 逆旅에서 道人呂翁을 만났다. 生은 窮困에 自歎하자 翁은 囊中에 베개를 끄어내어 주며「이를 베면 마땅히 그대의 뜻대로 될것이라」했다. 이때에 主人이 黃粱을 찌는데 生은 꿈에 베개속으로 들어가 崔氏女에게 장가들어 女子는 얼굴이 몹시 곱고 생산도 많이했다. 그리고 生은 進士에 올라 累進하여 官이 節度使에 이르러 크게 戎虜를 부수고 십년동안 정승이 되었으며 아들 五兄弟가다 仕宦하고 孫이 十餘人이요, 나이 八十을

황룡(黃龍)이 배를 지고[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60 페이지 / 전적]

황룡부주(黃龍負舟).

황룡사(黃龍寺)[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38 페이지 / 전적]

경상북도 경주에 있던 절. 신라 진흥왕 때에 착공하여 선덕 여왕 14년(645)에 완성한 것으로, 신라 호국 신앙의 중심지였다. 고려 고종 때에 몽골군의 침입으로 소실되어 지금은 터만 남아 있다.

황룡사(黃龍寺)[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47 페이지 / 전적]

경상북도 경주에 있던 절로 신라 진흥왕 때에 착공하여 선덕 여왕 14년(645)에 완성한 것으로, 신라 호국 신앙의 중심지였다. 고려 고종 때에 몽골군의 침입으로 소실되어 지금은 터만 남아 있다.

황류(黃流)[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46 페이지 / 전적]

「黃流」―濁流를 말한 것임

황릉몽(皇陵夢)[대동가(동가) 19 페이지 / 두루마리]

황릉몽환기(黃陵夢還記)로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황릉묘(黃陵廟)[회혼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우(禹) 임금이 누런 소를 끌고 가는 형상이 허공에 나타났다고 하여 이름 붙인 황우산(黃牛山)에 세워진 사당을 일컫는다. 이는 장강삼협(長江三峽)의 하나인 서릉협에서 의창 사이의 양자강 남안에 위치하고 있다.

황릉애원(黃陵哀怨)[옥산가라 52 페이지 / 전적]

소상강(瀟湘江) 주변의 8개의 승경을 노래한 가사인 소상팔경가(瀟湘八景歌 )의 하나로 황릉(黃陵)은 중국 산시성[陝西省] 옌안[延安]에 있는 현(縣).

황리(黃鸝)[후원초당 봄이듯이 3 페이지 / 두루마리]

꾀꼬리.

황망(慌忙)[북쳔가 18 페이지 / 두루마리]

마음이 몹시 급하고 당황하여 허둥지둥하는 면이 있음.

황망(慌忙)[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28 페이지 / 전적]

몹시 급하고 당황하여 어리둥절함.

황매(黃梅)[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9 페이지 / 전적]

梅雨」-陰曆四月未 五月初에 梅實이 노랗게 익어 떨어지려는데 이때는 水土가 潤溽하여 欝蒸해서 비가 자지므로 梅雨라 이름. 唐太宗의 詩에 「梅雨灑芳田」의 句가 있음.

황매산(黃梅山)[옥산가라 7 페이지 / 전적]

경상남도 합천군 대병면·가회면과 산청군 차황면의 경계에 있는 산. 높이 1,108m. 소백산맥에 속하는 고봉(高峰). 영남의 소금강으로 불리며, 700∼900m의 고위평탄면 위에 높이 약 300m의 뭉툭한 봉우리를 얹어놓은 듯한 모습으로 철쭉이 유명한 산.

황매산(黃梅山)[옥산가라 47 페이지 / 전적]

경상남도 합천군 대병면·가회면과 산청군 차황면에 걸쳐 있는 산.

황모필(黃毛筆)[감별곡 6 페이지 / 두루마리]

족제비의 꼬리털로 만든 붓.

황모필(黃毛筆)[춘몽가(츈몽가) 11 페이지 / 전적]

해가 돋는 동쪽 바다.중국(中國) 전설(傳說)에서, 동쪽 바다 속에 해가 뜨는 곳에 있다고 하는 나무.

황모필(黃毛筆)[춘몽가(츈몽가) 11 페이지 / 전적]

족제비의 꼬리털로 맨 붓.

황발(黃髮)[냥신낙사가(냥신낙가) 15 페이지 / 두루마리]

70-80세의 노인.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