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039개

황공감사(惶恐感謝)[북쳔가 21 페이지 / 두루마리]

임금의 은혜가 위엄있고 분에 넘쳐 어렵고 두려움.

황관(黃冠)[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77 페이지 / 전적]

「黃冠」-農夫의 服임. 禮 郊特牲에『黃衣黃冠而祭 息田夫也野夫黃冠 黃冠 草服也』라 하였는데, 孫希旦의 集解에『黃冠 바로 臺笠의 稱이니 그 色이 黃이다』라 하였음.

황구첨정(黃口簽丁)[거창가라 22 페이지 / 전적]

조선 후기에, 군정(軍政)이 문란해져서 어린아이를 군적(軍籍)에 올려 군포를 징수하던 일.

황구첨정(黃口簽丁)[아림가(娥林歌) 23 페이지 / 전적]

조선 후기에, 군정(軍政)이 문란해져서 어린아이를 군적(軍籍)에 올려 군포를 징수하던 일.

황구충정(黃口充丁)[거창가 18 페이지 / 전적]

황구첨정(黃口簽丁), 즉 어린아이가 태어나면 즉시 그 이름을 군적(軍籍)에 올려 세금을 부과하던 일.

황구충정(黃口充丁)[거창가 18 페이지 / 전적]

황구첨정(黃口簽丁), 즉 어린아이가 태어나면 즉시 그 이름을 군적(軍籍)에 올려 세금을 부과하던 일.

황구태배(黃耈鮐背)[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34 페이지 / 전적]

「鮐耈」―黃耈鮐背의 略稱인데 黃耈은 老人의 稱이요 鮐背는 늙으면 등에 鮐의 점이 생기므로 말이 된 것임. 詩經 大雅 行葦에「黃耈台背 以引以翼」이라는 句가 있음. 台는 鮐와 동일함.

황국(黃菊)[츄풍간별곡 차(츄풍간별곡 ) 10 페이지 / 전적]

노란 국화.

황국(黃菊)[비틀노래 3 페이지 / 두루마리]

누른 꽃잎이 피는 국화.

황국단풍(黃菊丹楓)[동국조선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누른 꽃잎이 피는 국화와 단풍의 계절.

황국단풍(黃菊丹楓)[청춘사연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노란 국화와 붉은 단풍.

황국시(黃菊時)[자치가 28 페이지 / 전적]

노란 국화꽃 필 무렵.

황국협회(皇國協會)[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61 페이지 / 전적]

독립협회에 대항하려고 정부가 조직한 단체.

황극전(皇极殿)[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9 페이지 / 전적]

1689년에 축조되었고, 최초 명칭은 닝서우궁[宁寿宫]이었다. 1772년에서 1776년에 걸쳐 닝서우궁 지역을 개축하면서 명칭을 황지뎬으로 변경하였다.

황극전(皇極殿)[한양가라 70 페이지 / 전적]

중국 천자가 사는 궁궐.

황금 칠병[권왕가 31 페이지 / 전적]

黃金七軿인 듯함. 황금 일곱 수레나 되는 많은 재산을 뜻하는 듯함.

황금(黃金) 백은(白銀)[자책가(가) 13 페이지 / 전적]

누른빛을 띤 금과 흰빛의 광택이 나는 은.

황금갑주(黃金甲冑)[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꾀꼬리의 빛이 황금 갑옷을 입은 것과 같다는 말.

황금갑주(黃金甲冑)[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꾀꼬리의 빛이 황금 갑옷을 입은 것과 같다는 말.

황금관(黃金館)[셔유곡 11 페이지 / 전적]

1913년 1월 1일, 황금 유원 내 활동사진관으로 개관. 경성부 황금정 4정목에 위치해 있었는데 지금의 을지로4가 부근임.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