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황금대(黃金臺)[우미인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건물 안에 천금(千金)을 두고 천하의 현자를 불러들였다는 관청.
황금부다 교불심(黃金夫多 交不深)[창덕가2 67 페이지 / 전적]
돈이 많지 않으면 사람 사귀는 일도 깊지 못하다는 뜻.
황금부다 교불심(黃金夫多 交不深)[창덕가2 68 페이지 / 전적]
돈이 많지 않으면 사람 사귀는 일도 깊지 못하다는 뜻.
황금일거(黃金一去) 불부환(不復還)[명륜가(明倫歌) 73 페이지 / 전적]
황금은 한번 떠나가면 다시 돌아오지 않음. 재산은 한 번 써버리면 다시 모으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황금정자[팔역가(八域歌) 48 페이지 / 전적]
황금 덩어리
황기[석천집(石川集二-五)2-5 88 페이지 / 전적]
상산(商山)의 사호(四晧) 가운데 하황공(夏黃公)과 기리계(綺里季)의 두 사람. 여기서는 신선의 총칭
황당(荒唐)[경세가(警世歌) 3 페이지 / 전적]
말이나 행동 따위가 참되지 않고 터무니없음.
황당(荒唐)[원시가(源時歌) 1 페이지 / 전적]
말이나 행동 따위가 참되지 않고 터무니없음.
황당(黃堂)[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27 페이지 / 전적]
「黃堂」- 太守의 廳事인데 雄黃으로써 발랐기 때문에 黃堂이라 稱하였음. 後漢書 郭丹傳에 「太守杜詩 請爲功曹 丹薦鄕人長者自代而去 詩乃嘆曰 昔明王與化 卿士讓位 今功曹推賢 可謂至德來以丹事編署黃堂 以爲後法」이라 했음.
황당(黃堂)[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09 페이지 / 전적]
「黃堂」― 州縣守宰의 政堂을 이름인데 위에 자세히 나타나 있음.
황당금옥[효부가 9 페이지 / 전적]
호화롭고 훌륭한 좋은 집.
황대(荒臺)[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72 페이지 / 전적]
「荒臺夢」-즉 陽臺인데 山名임. 文選 宋玉賦에 『楚襄王 遊雲夢之澤 夢神女曰 妾在巫山之陽 高丘之阻 旦爲朝雲 暮爲行雨朝朝暮暮 陽臺之下』라 하였음. 朱子의 武夷九曲歌에 『道人不復荒臺夢 與入前山翠幾重』이란 句가 있음.
황도(黃圖)[송강집(松江集三)3 84 페이지 / 전적]
황면재(黃勉齋)가 만든 상기(喪記)에 있는 도(圖)임. 양(梁)나라 강자일(江子一)이 속황도(續黃圖)를 찬했다.
황도루(黃嶌樓)난[정종대왕권학가(正宗大王勸學歌) 13 페이지 / 전적]
黃島樓는. 황도루는. ‘도(嶌)’는 도(島)와 동자(同字).
황도루(黃嶌樓)난[인택가(仁宅歌) 2 페이지 / 전적]
黃島樓는. 황도루는. ‘도(嶌)’는 도(島)와 동자(同字).
황득불에 살진다리[용화출세가 13 페이지 / 두루마리]
이 구절의 의미를 찾지 못함
황락(荒落)[셔유곡 6 페이지 / 전적]
거칠고 아주 쓸쓸함.
황락(荒落)하다.[쳑사대희승부가(쳑사희승부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황패하여 쓸쓸하다.
황락루상(黃鶴樓上)[축원하온가 15 페이지 / 두루마리]
황학루는 중국 호북성(湖北省) 무창(武昌) 서남에 있는 누명. 촉(蜀)의 비위(費褘)가 등선하여 황학을 타고 다니다 이곳에 내려 쉬었기 때문에 이름지었다 함.
황란(遑亂)[벌교사(벌교) 6 페이지 / 전적]
어리둥절.